ADVERTISEMENT
오피니언 진회숙의 음악으로 읽는 세상

은근한 조롱의 미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진회숙 음악평론가

진회숙 음악평론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는 세상을 뜰 때까지 레닌 상을 받은 소련 최고회의 의원으로서, 충실한 공산당원으로서, 나라의 공인으로서, 명예로운 시민예술가로서 전 생애를 소련 음악의 발전과 사회주의적 인도주의라는 국제사회의 이념을 구현하는 일에 바쳤습니다.”

1975년 8월 9일 세상을 떠난 쇼스타코비치에 대한 사회주의 관제(官制) 추모사는 이렇게 시작한다. 추모사만 놓고 보면 쇼스타코비치는 공산정권 치하에서 온갖 영화를 누리다 간 사람처럼 보인다. 하지만 사실은 이와 정반대였다. 그는 인민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곡을 쓴다는 이유로 스탈린의 눈 밖에 나서 평생 온갖 박해를 받은 사람이다.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비평가들은 그의 교향곡에 장조가 몇 개, 단조가 몇 개인지 일일이 세고 있었다. 소련 예술가 연맹은 그를  ‘인민의 적’이라고 불렀다. 쇼스타코비치는 공공연한 인민의 적으로서 일생 어느 날 쥐도 새도 모르게 이 세상에서 사라질지 모른다는 공포에 떨며 하루하루를 보냈다.

1945년, 히틀러를 이기고 나서 스탈린은 기세등등해졌다. 그래서 쇼스타코비치에게 관현악과 합창, 독창이 들어가는 지도자에게 바치는 찬가를 4관 편성으로 쓰라고 명령했다.

때는 쇼스타코비치가 마침 제9 교향곡을 쓸 차례였다. 스탈린은 그 ‘9’라는 숫자가 마음에 들었다. 베토벤의 ‘합창’에 버금가는 교향곡을 기대했던 것이다.

하지만 거기에는 합창도 없고 독창도 없고 찬가도 없었다. 스탈린에게 바치는 헌사도 없었다. 대신 조롱조의 멜로디가 가득했다. 스탈린은 속이 쓰렸지만 ‘대놓고’ 뭐라고 할 수는 없었다. 쇼스타코비치가 ‘대놓고’ 그를 조롱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음악은 다른 장르의 예술보다 편한 면이 있다. 추상적인 방식으로 ‘은근히’ 상대를 깔 수 있기 때문이다.

진회숙 음악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