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젠 삼겹살보다 비싼 시금치…연말까지 물가 계속 치솟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추석 명절 연휴를 보름여 앞둔 25일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며 오가고 있다. 연합뉴스

추석 명절 연휴를 보름여 앞둔 25일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며 오가고 있다. 연합뉴스

추석을 앞두고 신선 농산물과 가공식품, 외식 물가가 일제히 뛰고 있다. 명절 대목이 지나도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집중호우 후폭풍으로 농산물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는 데다, 올해 3~6월 정점을 찍었던 국제 곡물 가격도 최근 국내 가공식품 물가에 반영되기 시작해서다. 1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은 원화 값도 수입 식품 물가를 더 끌어올리고 있다.

2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 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지난 24일 기준 배추 소매가격은 포기당 6595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45.2% 올랐다. 시금치 1㎏ 소매가는 전년 대비 21.5% 뛴 3만2002원을 기록했는데, 같은 무게의 국산 돼지고기 삼겹살(2만6160원)보다도 비쌌다.

지난해 같은 때와 비교해 오이 값은 76%나 튀었다. 애호박(66.5%), 무(45.1%), 파(44.5%), 상추(37.5%), 당근(36%), 양파(25.7%), 깻잎(21.9%) 등도 마찬가지다. 가격이 안 오른 품목을 찾기 어려울 정도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농산물 가격 상승은 고스란히 외식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사이트인 ‘참가격’ 통계를 보면 올 7월 기준 자장면 한 그릇 값은 전국 평균 6074원으로 1년 전보다 13.1% 뛰었다. 삼겹살 1인분(200g) 값도 지난해보다 10.9% 상승한 1만5875원이었다. 여기에 김밥(12.7%), 칼국수(11.4%), 냉면(10.6%), 김치찌개 백반(8.6%), 삼계탕(8.3%), 비빔밥(7.7%)까지 소비자원이 조사하는 8개 외식 품목 가격 모두 10% 안팎 크게 올랐다.

가공식품 가격도 고공행진 중이다. 지난 24일 농심이 라면과 과자 출고 가격을 다음 달 15일 각각 11.3%, 5.7% 인상한다고 발표했는데 사실 예고편에 불과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해외 곡물시장 정보’에 따르면 밀은 3월 7일(이하 t당 475달러), 옥수수는 4월 29일(322달러), 대두는 6월 9일(650달러) 등 연중 최고치를 찍었다. 지난 3~6월 정점을 찍은 국제 곡물 가격이 최근 국내 물가에 차례로 반영되는 중이다. 수입 곡물ㆍ유지류를 주원료로 하는 라면ㆍ과자ㆍ빵 같은 가공식품 값이 더 오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환율도 문제다. 달러당 원화가치는 1330원대로 금융위기 때인 2009년 이후 13년 만에 최저치로 주저앉았다. 같은 양, 같은 값(달러화 기준)의 농산물을 수입하더라도 이전보다 더 많은 돈(원화)을 주고 사들여야 한다는 의미다.

이날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연 2.25%에서 2.5%로 0.25%포인트 올렸는데, 올 들어 4회 연속 인상이다. 물가와 환율 방어 목적이 컸다. 이날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998년 이후 24년 만에 가장 높은 5.2%로 수정 전망하기도 했다.

신선ㆍ가공식품, 외식 등 먹거리를 중심으로 한 물가난은 연말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9~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찍고 내려오더라도 하락 폭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원자재가, 환율 등 대외 변수가 여전하기 때문이다.

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유가와 국제 곡물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9~10월쯤 물가 정점은 곧 지나가겠지만 환율이 문제”라고 말했다. 강 교수는 “한ㆍ미 금리가 역전이 됐고 이후 금리 차이가 더 벌어질 전망인데 원화가치 하락으로 수입 물가가 계속 오를 위험이 있다”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