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개발' 성과 띄우기 나선 北…정찰위성 발사 명분쌓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이 2016년 2월 광명성 4호를 발사하는 모습. [노동신문 홈페이지 캡처]

북한이 2016년 2월 광명성 4호를 발사하는 모습. [노동신문 홈페이지 캡처]

북한 관영 조선중앙방송(라디오)이 7일 '광명성 4호'(북한 관측용 인공위성 주장) 발사 6주년을 맞아 '우주 정복' 의지를 강조했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윤순영 부원은 이날 방송에서 "우주 정복을 위한 길은 오늘도 내일도 이어질 것이며 그 길에서 세상을 놀라게 하는 주체조선의 영웅신화는 끊임없이 창조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2016년 2월 7일 평북 철산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3단계 로켓을 쏘아 올렸고, 북한은 인공위성 발사라고 주장했다.

북한이 간간이 관영매체를 통해 우주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새해들어 각종 미사일을 쏘아 올리며 위기를 고조시키는 상황에서 이런 주장이 나와 주목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지난달 19일 노동당 정치국 회의(8기 6차)에서 모라토리움(핵 실험ㆍ미사일 발사 유예) 파기를 위협한 바 있다.

때문에 북한이 인공위성 발사 특히 지난해 김 위원장이 제시했던 군 정찰위성 발사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북한은 지난해 1월 제8차 당대회에서 극초음속 미사일, 수중 및 지상에서 발사하는 고체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핵잠수함과 수중발사 핵전략무기, 군사정찰위성, 무인정찰기 등 5대 핵심과제를 내놨다.

다단계(3단계) 장거리 로켓을 사용하는 인공위성 발사는 위성 보호 덮개인 페어링 부분을 탄두로 교체하면 곧바로 ICBM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가 우주 개발이라는 과학적 성과와 함께 군사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정보당국도 북한이 지난달 5일과 11일 극초음속미사일을 발사한 뒤 최종 시험발사를 마쳤다고 밝힌 만큼 남아있는 5대 핵심 과업 중에서 정찰위성 카드를 준비할 수도 있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국회 정보위원회 야당 간사인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달 21일 브리핑에서 "동창리 발사장에서 위성 발사를 명분으로 ICBM 발사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북한은 6일 최고인민회의(정기국회)을 열겠다고 사전에 예고했는데, 7일 오후 현재 개최 소식을 밝히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일정이 변경됐거나 이틀 이상 회의를 진행한 뒤 결과를 발표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북한은 통상 최고인민회의를 앞두고 이들의 '집결' 소식을 보도하곤 했지만 이번에는 관련 소식을 전하지 않았다.

정부 당국자는 "김정은 위원장의 연설 등으로 회의를 2일 이상 진행하게 되면 보도가 미뤄질 수 있다"며 "북한 관영 매체들의 최근 최고인민회의 보도 패턴을 보면 일정이 치러진 뒤 일괄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