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호배 테니스 남자 결승, 전웅선 '고교 최강' 등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2면

한국판 샘프러스와 애거시.

30일 서울 장충코트에서 열린 제47회 장호배 전국주니어테니스대회 남자결승전은 지난 4월 이덕희배 국제주니어대회를 그대로 옮겨 놓은 듯했다. 6개월의 기간이 흘렀으나 고교무대 최강자를 가리는 결승전 주인공은 똑같았다. 전웅선(17.SMI아카데미)과 김선용(16.양명고). 두 선수는 선배들을 모두 제치고 한국 테니스의 미래를 이끌어갈 주역으로 우뚝 서 있었다.

파워넘친 서비스로 무장한 전웅선과 정교한 스트로크와 지능적인 플레이가 뛰어난 김선용의 대결은 대포알 서비스로 이름 높았던 피트 샘프러스와 재치있는 스트로크 플레이어 앤드리 애거시의 경기를 보는 듯했다.

김선용이 1세트 6-6 타이브레이크에서 7-5로 이겨 주도권을 잡았으나 힘에서 앞선 전웅선이 2세트를 6-2로 따낸데 이어 3세트는 6-0으로 완파하며 세트스코어 2-1로 승리했다.

1m90㎝로 최장신 테니스 선수인 전웅선은 이덕희배 결승 패배를 설욕하며 국내 주니어무대에서 처음으로 정상에 올랐다. 김선용도 1m83㎝.70㎏의 좋은 체격조건을 갖춰 무궁한 성장 가능성을 보여줬다.

현재 세계 주니어 랭킹 34위인 전웅선과 30위인 김선용은 현재 18세 선수들이 내년 초 성인무대로 빠져나가면 세계 톱10 진입이 유력하다. 현재 SMI 테니스 아카데미에서 나란히 레슨을 받고 있는 둘은 해외 원정 때면 한방에서 지내는 등 형제처럼 친한 사이다.

여자단식에서는 홍다정(중앙여고)이 고교1년생 이예라(강릉정보고)를 2-0(6-0,6-4)으로 완파하고 대회 3연속 우승을 이뤘다. 장호배 3연패는 1957~59년 1~3회 때 정명자(경기여고)이후 44년 만에 나온 대기록이다.

김종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