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탕골 소극장 살리기' 임대료 제한 등 정책대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서울시와 종로구청이 바탕골 소극장 살리기에 나설지 귀추가 주목된다. 바탕골 소극장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는 기사(본지 10월 28일자 29면)가 나간 후 서울시 산하 시정개발연구원의 나도삼 연구원은 "상업 논리에 밀려 소극장이 대학로에서 빠져나갈 경우 지역 정체성은 사라지게 된다"고 우려했다.

이는 서울시가 내년에 대학로를 문화지구로 지정할 예정인 것과 관련이 있다. 대학로가 문화지구로 지정되면 ▶공연장 시설 개보수 ▶거리 등 지역 환경 정비 ▶비문화 관련 업종에 대한 제한 ▶중극장급 건물과 연습장 확보 등 각종 지원과 규제를 받게 된다.

그러나 이런 움직임이 오히려 대학로 소극장에는 해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개발 기대심리로 대학로의 땅값과 건물값이 상승하면서 임대료가 덩달아 오르고 있기 때문.

나도삼 연구원은 "대학로가 문화 지구로 지정되면 소극장에 대한 지원이 가장 큰 몫을 차지한다. 차제에 소극장을 살리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소극장이 있는 건물에 대한 용적률 차등 적용 등 인센티브제와 터무니없는 임대료를 부를 경우 각종 행정조치를 취하는 등의 대안을 제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