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에 경제조사단 파견/경협 급진전 적극 대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6월2일 실상 정확히 파악키로
정부는 미소 정상회담에서의 동북아긴장완화방안에 관한 논의가 확실해지고 소련이 시장경제정책을 전면적으로 도입하는등 최근의 국제정치 경제상황이 한소간 현안의 타결에 유리한 쪽으로 흐른다고 보고 종합적인 한소경제협력 대책마련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30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소련경제의 실상을 정확히 파악해 양국간 경제협력을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에 따라 우선 소련경제 실무조사단을 6월2일 파견키로 했다.
또 나자로프 주한소련상공회의소장,시로튜크영사담당관도 6월2일 본국과의 경제관계업무협력을 이유로 급거 소련으로 귀환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한소간 경협을 중심으로 한 현안타결이 임박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금까지 한소 양국간에는 수십억달러상당에 달하는 프로젝트가 추진중이나 국교가 개설되어 있지 않은데다 투자보장협정등이 체결되어 있지 않아 기업들의 대소 투자진출은 의욕과는 달리 큰 실적을 올리지 못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정부는 한소간 경제협력의 확대를 위해서는 투자보장협정등의 체결과 함께 소련경제의 실상을 양국당국자가 허심탄회하게 논의,구체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1차로 소련경제조사단의 파견을 결정했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가 유럽개발은행 회원국으로의 가입후 동구변화에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발생했고 미소 정상회담후 변화할 동북아 정치 경제환경에 대비할 기초조사가 필요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