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축구세상의 ‘오만과 편견’ 동성애자 문제

중앙일보

입력

"젠장맞을 게이 녀석."
 
지난 달 27일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벤피카-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전에서 폴 스콜스(32·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옐로카드를 받자 프랑크 데 블레커 주심(벨기에)에게 내뱉은 말이 한 동안 잠잠하던 유럽 축구계 동성애자(게이) 문제를 다시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베컴

동성애자의 인권이 점차 상승하는 분위기와 달리 축구계는 여전히 '마초(강력한 남성성) 문화'가 지배하고 있다. 인종차별이 국제축구연맹(FIFA)이 노력으로 개선되고 있는 요즘, 게이차별은 축구계 새로운 인권문제로 등장했다.

▲마초문화의 절정 풋볼월드
 
통계적으로 남자 20~30명 중 1명이 게이인 나라 영국. 하지만 잉글랜드 등 영국 프로리그에서 뛰는 4500명 중 공식적인 게이는 한 명도 없다. 통계수치를 단순히 대입한다면 한 팀에 적어도 한 명은 있어야 정상이지만 '커밍아웃(성정체성 공개)'사례는 찾기 힘들다.
 
축구장 밖에서의 사생활이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축구장에서 시시때때로 등장하는 게이 비하 움직임은 공무원, 경찰 심지어 군대 내부에 게이단체가 존재하는 영국에서는 꽤나 도발적인 행위로 볼 수 있다.
 
윔블던 단식 6회 우승에 빛나는 60년대 테니스 스타 빌리 진 킹을 시작으로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등 동성애자 스타들이 이름을 날린 테니스, 그리고 피겨스케이팅. 축구보다 더욱 격렬한 운동인 럭비에서도 '커밍아웃'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축구는 예외다.

잉글랜드 럭비선수였던 브라이언 무어는 축구와 럭비의 차이를 팬에서 찾는다. 무어는 "럭비 팬들은 (축구 팬들보다) 교육수준이 더 높다. 그래서 더 넓은 시야와 더 나은 관용의 덕을 가지고 있다"고 평한다. 영국의 유명 방송인인 리즈 커쇼도 "테니스는 예부터 노동 계층의 지지를 받았던 축구와 달리 중산층이 즐기는 스포츠였다"며 이러한 시각을 거든다.
 

륭베리

어쨌든 오랫동안 고착된 축구의 반동성애자 문화는 애꿎은 피해자를 양산해왔다. 최근의 가장 큰 피해자는 잉글랜드 대표출신으로 지난 해 은퇴한 그레이엄 르 소(36)였다. 르 소는 짖궂은 팬들과 심지어 동료 사이에서 프리미어리그 게이의 상징이었다.

결혼해서 아이까지 두고 있는 르 소가 게이들의 취미로 유명한 골동품 수집에 조예가 깊고 진보적인 성향의 일간지 가디언의 애독자였기 때문. 올시즌 포츠머스로 이적한 솔 캠벨(32)도 게이로 낙인찍혀 친동생으로부터 비난을 듣기도 했다.

▲게이면 어때
 
축구선수들의 사생활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는 영국 iTV의 인기 드라마 '축구선수들의 부인들'에서 '게이츠' 역을 맡고 있는 벤 프라이스는 "요즘 축구계는 10년 전 정치판과 똑같다"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10여 년 전 게이로 의심받은 정치인들이 결국 자신의 성정체성을 공개한 사실을 빗댄 것이다. 그만큼 밝혀지지만 않았을 뿐 현재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에는 생각보다 많은 게이들이 활동하고 있을 개연성이 높다.
 
노동계층의 스포츠였던 축구장에 여성팬들이 늘어나고 중산층의 선호도도 높아가면서 게이에 대한 거부감도 많이 희석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르 소나 캠벨과 달리 게이 의혹에 대해 덤덤한 반응을 보이는 스타도 적잖다. 대표적인 사례가 데이비드 베컴(31·레알 마드리드)과 프레드릭 륭베리(29·아스널)다. 베컴은 게이잡지 인터뷰도 마다하지 않는다. 륭베리는 자신의 게이 이미지에 "여자친구가 내 정체성을 알고 있으니 아무 문제 없다"고 받아친다.
 
섹시가이로 유명한 둘의 공통점은 '게이는 패션감각이 뛰어나다'는 속설을 역으로 활용, 축구계에서 패션 아이콘으로 광고계를 누비고 있다.

장치혁 기자 [jangta@jesnews.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