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작권 환수는 북 붕괴 대비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육·해·공군, 해병대 예비역 장교들이 23일 서울 신천동 향군회관에서 전시 작전통제권 단독행사에 반대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참석자들이 거수경례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조용철 기자

김성곤 국회 국방위원장

김성곤(열린우리당.사진) 국회 국방위원장은 23일 "전시 작전통제권(전작권) 환수에는 북한 붕괴 또는 전쟁 발발 때 북한을 수복하는 군의 주체가 누구냐 하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과 함께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성우회 회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발언에는 한반도 유사시 한국 주도의 남북통일이 이뤄지려면 북한에 진입하는 군 병력의 지휘권(전작권)을 연합군 사령관(주한미군사령관)이 아닌 한국군 사령관이 보유해야 한다는 논리가 깔려 있다.

이와 관련, 한.미 양국은 지난해 1월 북한 내부의 정변.소요 등 급변 사태에 대비한 '작전계획 5029'협의를 중단한 바 있다. 당시 한국은 북한을 '미수복 지역'으로 간주해 북한 지역 통제권을 한국이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반면 미국 측은 '연합사 관할지역'으로 판단해 연합사령관의 잠정적 통제권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이날 "(한반도 유사시에 대비해 한미연합사가 세운)'작전계획 5027.5029'가 있는데 북한 붕괴 때 북한을 관리.통제할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정치적으로 큰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21일에도 "유사시 미군이 북한에 진입할 경우 중국이 이를 받아들일지도 따져볼 사안"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이날 간담회에선 김 의장이 "공개할 사항이 아니다"라며 김 위원장의 발언을 제지해 이 문제는 더 이상 언급되지 않았다.

군 작전계획에 따르면 한반도 유사시 전투준비 태세는 '데프콘4(평시)'에서 '데프콘3(군사적 긴장 상태)'이상으로 격상되며 한국군 작전통제권은 연합사령관에게 넘어간다.

채병건 기자 <mfemc@joongang.co.kr>
사진=조용철 기자 <youngc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