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은 모공 쉽게 축소시킬 수 있다

중앙일보

입력

제한된 공간과 많은 양의 피지

사춘기 이후 호르몬의 영향으로 모낭에 연결된 피지선에서 피지 분비량이 많아지면서 이 피지가 피부 표면으로 분비되는 통로에 해당하는 모공이 넓어지게 된다. 이는 제한된 공간 안에서 많은 양의 피지가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체질적으로 피지를 만들어 내는 공장인 피지선 자체가 정상보다 2~3배 크거나, 피지 분비를 촉진시키는 호르몬이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피지선을 가진 사람들의 피부가 특히 번들거리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리고 오랫동안 많은 양의 피지 덩어리가 배출되면 모공 속에 마치 대장 속의 숙변처럼 정체된 피지 덩어리가 노폐물과 함께 쌓일 수 있다. 이런 피지 덩어리들은 세균에 감염돼 염증성 여드름을 유발하고 모공을 넓어지게 한다.

개인차가 있기는 하지만 20대 중반부터 시작되는 피부 노화로 인해 모공 내벽으로 차지하고 있던 콜라겐 섬유와 탄력섬유가 변성,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바람에 탄력이 떨어진 피부가 처져서 모공이 크게 보일 수 있다.

모공이 열려있으면 피부 트러블의 원인

모공이 어떠한 이유로 커졌던 간에 모공은 다시 축소시켜야 한다. 미용적인 측면에서나 인체 부속기관의 원활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해 피부의 영원한 적으로 남기 때문이다. 또 모공이 항상 열려있으면 미세한 먼지와 각종 세균 등이 침범하여 피부트러블이 잘 일어나는 원인이 되며, 세안시 화장 잔여물과 피지 등이 남아있어 얼굴이 거무칙칙하게 보인다.

그동안 모공 수축과 축소 방법에 대해 여러 가지 대안들이 속출하고 있지만, 넓은 모공을 줄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레이저나 화학박피술을 시행하면 자연히 속에 있는 살이 드러나 모공이 좁아질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모공을 좁아지게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모공은 매우 좁고 길기 때문에 피부의 상층 부위만을 필링하거나 박피를 해도 기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이다.

포어 콘스트릭팅 시스템(PCS)으로 모공 축소 가능해져

그런데 최근 넓은 모공을 축소시켜주는 모공 축소술이 선보여 여성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기침의 생체조직 확장 작용을 결합시킨 포어 콘스트릭팅 시스템(PCS)이 바로 그것이다. 이 PCS는 박피작용으로 피부 깊숙이 위치한 모공 주변의 콜라겐을 위축시키고 모공 속의 피지선을 직접 파괴하면서 전기침에서 나오는 미세전류가 모공을 자극 내벽이 두꺼워지도록 유도하는 장치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