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마이삭 경남 해안 강타 “시간당 최고 60㎜ 물폭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제9호 태풍 ‘마이삭’이 강한 세력을 유지한 채 북상 중인 2일 오전 제주도 서귀포 표선리 앞바다에 높은 파도가 몰아치고 있다. [뉴스1]

제9호 태풍 ‘마이삭’이 강한 세력을 유지한 채 북상 중인 2일 오전 제주도 서귀포 표선리 앞바다에 높은 파도가 몰아치고 있다. [뉴스1]

제9호 태풍 마이삭이 3일 새벽 경남 남부 해안지방으로 상륙해 아침에 강원도 동해시 쪽으로 빠져나간다. 전국이 태풍의 영향권에 들며 강한 바람이 불고 많은 비가 내리겠다. 한반도를 지나 북상한 마이삭은 저녁때쯤 중국으로 올라가 소멸할 것으로 보인다.

강원 동해시 쪽으로 빠져나가 #10호 태풍 하이선 또 올라와 #지구 온난화로 해수 온도 상승 #태풍 많아지고 위력 더 세져

기상청은 마이삭이 2일 오후 7시 기준 중심기압 945hPa, 최대풍속 시속 162㎞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제주도 서귀포 남동쪽 130㎞ 해상에서 이동 중이라고 밝혔다. 마이삭은 3일 오전 1~2시 경남 거제·김해시로 상륙해 오전 6시 강원 동해시 북쪽으로 빠져나갈 전망이다. 북한을 거쳐 중국으로 올라간 마이삭은 이날 오후 6시쯤 청진 북서쪽 320㎞ 육상에서 소멸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삭의 영향으로 제주도 및 전라 남쪽 일부와 경남에 태풍특보, 경북과 강원영동 지역에 호우주의보가 발효됐다. 시간당 30~60㎜ 이상의 강한 비가 내리는 곳도 있겠다. 기상청 윤기한 사무관은 “중심 부분에서 초속 45m의 강한 바람이 불고 있어 강풍 피해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태풍 ‘마이삭’ 예상 진로.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태풍 ‘마이삭’ 예상 진로.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한편 지난 1일 발생한 제10호 태풍 하이선은 중심기압 990hPa의 약한 태풍으로 괌 북북서쪽 740㎞ 해상에서 빠르게 남서진 중이다. 6일 일본 가고시마를 거쳐 북상한 뒤 부산 근처로 상륙해 동쪽을 지날 것으로 보인다. 바비부터 연달아 3개의 태풍이 오는 셈이다.

이처럼 태풍이 많아지는 이유는 뭘까. 기상 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를 이유로 꼽는다. 지구가 계속 더워질 경우 앞으로 태풍·허리케인 같은 열대성 저기압으로 인한 인명·재산 피해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큰 이유는 해수 온도의 상승이다. 태풍이나 허리케인 같은 열대 저기압은 더운 바닷물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에서 에너지를 얻는다. 바닷물이 더워지면 더욱 강한 태풍이 생긴다는 뜻이다. 2013년 11월 필리핀을 강타해 700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간 태풍 하이옌이 대표적이다. 최대풍속은 초속 63.9m, 순간 최대풍속(1분)은 초속 87.5m를 기록했다.

태풍 풍속에 따른 피해 예상.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태풍 풍속에 따른 피해 예상.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북상 시 태풍의 위력도 약해지지 않는다. 2016년엔 태풍 차바가 10월 초 부산·울산 등지에 적지 않은 피해를 끼쳤다. 여름철이 길어지면서 태풍이 강한 세력을 유지한 채 더 북쪽으로 이동한다.

해수면이 높아져 침수·해일 피해도 키운다. 바닷물의 온도가 높으면 부피가 커져 해수면이 상승한다. 그 탓에 태풍 발생 시 연안의 침수 피해가 커진다.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한반도 해역의 평균 해수면은 지난 40년간 약 10㎝ 상승했다. 이 수치가 작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먼바다에서부터 연안까지 드넓은 면적에 걸쳐 10㎝ 높이의 물을 태풍이 밀어댄다면 해안에서는 엄청난 피해를 겪는다.

수증기 증가로 ‘물폭탄’ 가능성도 높아진다. 기온이 1도 오르면 대기는 수증기를 7% 더 머금게 된다. 강수량이 많아진다는 뜻이다. 2017년 8월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을 강타한 허리케인 하비는 일주일 넘게 이 지역 연간 강수량과 맞먹는 ‘물폭탄’을 쏟아 부었다. 1000㎜가 넘는 엄청난 폭우가 쏟아진 것이다. 미국 로런스버클리 국립연구소는 지구온난화가 하비의 강수량을 19~38% 끌어올렸다고 추산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김정연 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