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검 연구관 '한 자리' 비었다, 임은정 감찰직설에 檢 들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임은정 울산지검 부장검사. [뉴스1]

임은정 울산지검 부장검사. [뉴스1]

"대검 검찰연구관 32자리 중 한 자리가 빈다"

법무부가 27일 단행한 검찰 중간간부 인사 명단을 살펴본 대검찰청 관계자들은 대검 검찰연구관 32자리 중 한 자리가 공석인 사실을 확인했다.

곧바로 대검 내에서는 임은정(46·30기) 울산지검 중요경제범죄조사단(중경단) 부장검사가 그 자리로 와 감찰직을 맡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왔다. 실제로 대검은 법무부에 "해당 자리가 임 부장을 염두에 둔 자리냐"는 취지로 법무부에 문의했지만, 법무부는 “보안사항이라 알려줄 수 없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공교롭게 이번 인사에서 울산지검 중경단 소속 검찰 간부 3명 중 임 부장을 제외한 나머지 2명은 다른 곳으로 인사 발령이 났지만, 새롭게 3명이 충원됐다. 검찰 내부는 들썩였다.

임은정 3년째 감찰직 지원…검찰과장 "사직자 공석 충원 외 다른 계획 없어"

법무부는 지난 중간간부 인사 발표 이후 사표가 수리돼 공석이 된 자리를 채우기 위한 후속 인사를 준비하고 있다. 다음 달 3일 부임 전에 인사 발령을 낼 방침이다. 임 부장에 대한 인사 가능성을 묻는 말에 검찰 인사 업무를 담당하는 김태훈(49·30기) 법무부 검찰과장은 "사직자 공석 충원 인사 외에 다른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임 부장은 최근 3년간 인사를 앞두고 감찰직에 꾸준히 지원하고 있다. 이번 중간간부 인사에서도 검찰과장, 감찰담당관, 감찰과장, 제주지검 형사1부장 순으로 지원했다고 한다. 임 부장은 지난 1월 검찰 인사에서도 "감찰직 공모에 응하긴 했었는데 아쉽게도 좀 부족했나 봅니다"라는 페이스북 글을 올려 직접 감찰직 지원 사실을 공개하기도 했다. 지난 인사에 이어 이번 인사에서도 임 부장은 울산지검에 유임됐다.

임 부장은 두 달 전쯤 대검 감찰부가 울산지검 사무감사를 진행할 당시 한동수(54·24기) 대검 감찰부장과 면담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당시 검찰 내에서 임 부장의 '대검 감찰과장' 소문이 돌았다. 한 검찰 관계자는 "한 부장이 임 부장을 감찰부로 데려오기를 희망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한 부장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물러나기 직전 임명됐다. 한명숙 전 총리 사건을 두고 윤석열 검찰총장과 공개적으로 마찰을 빚기도 했다.

한동수 대검찰청 감찰부장

한동수 대검찰청 감찰부장

임 부장은 31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인사 전후로 관련 이야기를 전혀 나눈 적이 없다"면서 "다만 가게 되면 소임은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 부장과의 면담 때에는 인사가 아니라 일선의 애로사항을 소재로 이야기 했고, 한 부장은 주로 경청했다"고 덧붙였다.

임은정 누구길래 검찰 들썩거리나

임 부장의 감찰직 연구관 인사 가능성이 거론되자 검찰 내부에서는 부정적인 반응이 나온다. 한 현직 검사는 "감찰이라는 것은 조직에 대한 애정과 이해가 같이 가야 하는데, 비난 혹은 개혁의 대상으로만 선입견을 가진 사람들이 어떻게 제대로 된 감찰을 할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임 부장이 누구길래 검찰 내부가 들썩거릴까. 임 부장은 2011년 '도가니' 공판 여검사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임 부장은 서울중앙지검 공판2부 검사였던 2012년 12월 과거사 재심(고 윤길중 진보당 간사 사건) 재판과 관련해 백지 구형을 하라는 부장검사의 지시를 거부했다가 재판에 들어가 법정 문을 잠근 채 무죄를 구형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정직 4개월 징계를 받았지만, 징계취소 소송에서 최종 승소했다.

임 부장은 이후 검찰 내부 고발자를 자처하며 검찰 내부망과 본인 페이스북을 통해 검찰 수사와 정책, 인사 등 여러 방면에서 반(反)검찰 목소리를 내왔다. 윤 총장에 대한 비판도 공개적으로 했다. 그는 서지현 검사와 검찰 내 미투 운동을 공론화했다. 다만 최근 고 박원순 서울시장 사건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꼈다.

특히 임 부장은 전·현직 검찰 간부들을 상대로 감찰 요청과 고발을 수차례 진행했다. 이와 관련해 본인이 수차례 감찰 요청을 해놓고, 감찰 실무를 담당하는 것은 검사윤리강령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나온다.

강광우·김수민 기자 kang.kwangw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