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초미세먼지 주범' 부산항 매연 잡으려 4개 기관이 뭉쳤다

중앙일보

입력

2018년 4월 2일 황령산에서 본 부산항 일대. 미세먼지 등으로 공기가 뿌옇다. 송봉근 기자

2018년 4월 2일 황령산에서 본 부산항 일대. 미세먼지 등으로 공기가 뿌옇다. 송봉근 기자

부산지역 미세먼지의 주범인 부산항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4개 기관이 힘을 모은다.

부산시·낙동강환경쳥·해양수산청·항만공사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하역장비 LNG 보급 #선박의 육상전원공급설비 설치 등 추진하기로

 부산시는 낙동강유역환경청, 부산해양수산청, 부산항만공사와 함께 11일 오전 부산상공회의소에서 부산항만 지역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부산시 등에 따르면 2016년 부산지역 미세먼지 총배출량 2544t의 37%인 967t이 항만에서 배출될 정도로 부산항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가 많다. 항만을 드나드는 선박과 트레일러·야드트랙터 등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다.

 이 때문에 부산은 다른 지역과 달리 7~8월에도 미세먼지가 ‘나쁨’ 수준으로 대기 질이 악화하는 경우가 잦은 편이다. 부산은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은 여름철에도 해륙풍의 국지순환으로 인한 대기 정체로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다른 지역보다 높은 것이다.

2018년 9월 부산시와 현대자동차가 수소차 보급 협약을 할 당시 선보인 수소 승용차. 부산시

2018년 9월 부산시와 현대자동차가 수소차 보급 협약을 할 당시 선보인 수소 승용차. 부산시

 실제로 부산지역 초미세먼지(PM2.5)는 2019년 연평균 21㎍/㎥로 환경기준 15㎍/㎥를 초과했다. 미세먼지(PM10)는 2019년 연평균 36㎍/㎥로 환경기준 50㎍/㎥ 이내였다.

 지난 4월 수립된 ‘동남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2020~2024)’상 부산은 2019년 기준 21㎍/㎥인 초미세먼지(PM2.5) 농도를 2024년까지 17㎍/㎥까지(환경기준 15㎍/㎥) 낮추는 것이 목표다. 미세먼지는 2024년 33㎍/㎥로 낮춘다.

 선박처럼 벙커C유·경유 같은 화석연료 연소 때 주로 발생하는 초미세먼지는 기관지·허파꽈리 깊숙이 침투하고 황·질소산화물(SOx·NOx) 같은 2차 유해물질을 생성해 세계보건기구(WHO)가 2013년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다.

 부산시 등은 부산항에서의 미세먼지 저감 없이는 동남권 미세먼지 대기 질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미세먼지 저감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업무협약을 추진하게 됐다.

 협약의 주요 내용을 보면 부산시는 항만에 출입하는 노후 경유차에 매연저감장치(DPF)를 설치하거나 조기 폐차를 추진한다. 부산해양수산청과 부산항만공사는 야드 트랙터 등 하역 장비에 LNG(액화천연가스)를 보급하고, 정박 중인 선박에 전기를 공급하는 육상전원공급 설비를 설치·운영하기로 했다. 부두에 정박하는 컨테이너 선박 등은 벙커C유로 내연기관을 가동해 많은 양의 미세먼지 등을 발생한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사물인터넷(IoT) 기반 미세먼지 측정망과 대기측정망을 확충해 상시 모니터링하고 대기 질 정보를 각 기관과 공유할 계획이다. 이들 4개 기관은 항만에서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할 때 배출원 관리 강화, 비산먼지 발생 저감 조치 같은 대응 매뉴얼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호중 낙동강유역환경청장은 “이번 협약식을 마중물 삼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동남권 전역으로 퍼져 2024년 동남권 대기개선 목표인 17㎍/㎥를 조기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산=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