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공공시설 장애인편의시설 설치율 75%

중앙일보

입력

부산지역 공공시설의 장애인편의시설 설치율이 75%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는 6일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난 4월 10일까지 설치해야할 점자블록과 턱낮추기 등 공공시설의 편의시설 1만1천286개 가운데 75.6%인 8천528개만 설치됐다고 밝혔다.

유형별로는 장애인의 왕래가 가장 많은 장애인특수학교가 49개중 26개만 설치해 53.1%로 설치율이 가장 낮았고 공중화장실과 공공도서관이 각각 59.5%와 59.6%를 기록해 그 다음으로 저조했으며 시청과 구.군청 청사, 경찰서 등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청사와 읍.면.동사무소의 설치율도 각각 77.7%와 75.9%에 그쳤다.

용도별로는 유도안내설비가 70개중 절반가량인 38개만 설치돼 설치율(54%) 이 가장 낮았고 경보.피난설비와 대변기가 각각 57%로 나타났다.

구.군별로는 영도구가 672개 가운데 434개를 설치해 64.6%로 설치율이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는 부산진구와 남구가 각각 69.2%와 69.3%로 저조했다.

구.군은 이에 따라 미정비 대상시설 2천758개에 대해 내년 4월 10일까지 편의시설 설치를 완료하도록 해당 자치단체장들에게 시정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구청사와 읍.면.동사무소, 보건소의 상당수가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지 않아 구청
장.군수가 자신에게 시정명령을 내리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남구청의 경우 접수대와 유도.안내설비를 갖추지 않은 구청사와 대변기 등을 설치하지 않은 동사무소 때문에, 북구청은 아무런 편의시설을 설치하지 않은 북구도서관 등으로 구청장이 자신에게 시정명령을 내리는 등 부산의 16개 구.군청장이 모두 자신에게 시정명령을 내렸다. (부산=연합뉴스) 민영규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