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産團 주민 "빨리 移住시켜달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여수산업단지 내 호남석유화학㈜ 폴리에틸렌(PE)공장 폭발사고를 계기로 여수산단 주변마을 이주문제를 서둘러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여수시 삼일동 여수산단 주변 마을 이주대책위(위원장 이재수)는 6일 "더 이상 불안해서 살 수 없다"며 "주민들이 이주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보상비 등 대책을 마련할 때까지 강경투쟁을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공장 인근 주민 2천5백여명은 지난 3일 오후 사고 발생 1시간쯤 후 여수시청.흥국체육관 등으로 대피했다가 4~5시간 후 귀가했다.

공장에서 3~4백m 떨어진 여수시 중흥마을 주민 강모(39)씨는 "큰 폭발음이 터지면서 지진이 난 것처럼 집이 흔들리고 불기둥과 검은 연기가 하늘을 뒤덮어 대피후에도 좀처럼 진정할 수 없었다"며 "입주업체와는 별도로 정부차원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들 주민들은 호남석유화학측에 ▶마을~공장 비상연락망 구축▶재난상황 고려 직원 24시간 마을 상주 대기▶마을 5곳에 가스측정기 설치 등을 요구했다.

또 1천여가구 3천3백명 주민들에 대한 종합병원 건강정밀검진 실시와 정신적.물질적 피해 등 13억9천만원의 보상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회사관계자는 "주민 안전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이와 함께 보상비와 건강검진 등에 대해서도 긍적적으로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여수환경운동연합은 이날 성명을 내고 "정부와 여수산단 입주업체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에 대해 늦장 대응과 무대책으로 일관했다"며 "여수산단을 재난 위험시설.지역으로 지정하고 재난관리시스템을 구축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올해만 해도 여수산단 내 금강고려화학.남해화학.엘지칼텍스정유.엘지화학 등에서 잇따라 사망 사고가 발생,여수시민은 생명과 안전에 심각한 위협을 받고있으며 불안에 떨고있다"고 주장했다.

?여수산단 주변마을 이주사업=정부는 여수산단 주변 환경오염으로 월하.중흥 등 5개마을 1천7백91가구(5천9백56명)를 사업비 3천3백60억원을 들여 2002~2006년 여수시 5개 택지지구로 이주하기로 지난 1999년 확정했다.

그러나 사업비 중 주민들에 대한 간접보상비로 책정된 입주업체 자율 분담금(3백60억원)을 놓고 업체별 배분방식 등에 대한 이견으로 난항을 보이다 지난 5월 감사원이 "법률적인 근거가 없는 입주업체 분담금은 있을 수 없다"고 지적, 또 다시 어려움을 겪고있다.

여수시 관계자는 "간접 보상비가 해결이 안돼 일부 건축비 등을 받은 주민들도 이전을 미루는 등 이주사업에 차질을 빚고있다"며 "이번 기회에 국비로 분담금을 충당해 이주문제를 이른 시일 안에 마무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창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