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어떻게 전파됐나]

중앙일보

입력

최근 잇따라 발생한 구제역은 어떤 경로를 통해 국내에 유입됐을까. 1934년이후 66년동안 구제역 발생이 없었던 우리나라로서는 정확한 발병경로가 ´미스터리´ 로 남아있는 가운데 최근 극심해진 ´황사´ 현상이 유력한 감염경로로 지목되고 있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홍성.파주 지역의 구제역이 모두 지난달 19~20일께 발생했고 ▶두지역이 모두 서해안에 면해있는 점을 감안할 때 황사바람을 타고 구제역 바이러스가 넘어왔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2일 밝혔다.

중국은 국제수역사무국(OIE) 비가입 국가여서 가축 전염병 발생자료가 국제적으로 정식 보고되고 있지는 않지만, 지난해 푸젠(福建) 성에 이어 2~3월께 옌볜(延邊) 지역에서 구제역 발생이 알려지는 등 구제역 발생국가로 분류되고 있다.

97년 돼지구제역이 발생했던 대만에서도 올 1월 염소 구제역이 발생하는등 구제역 발생이 빈번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주 괴질이 홍성으로 전염된 것이라면 두 지역이 발병시기가 차이가 있어야 하지만 거의 비슷한 시기에 발생한 점으로 미뤄 방역당국은 ´황사 전파설´ 에 상당한 무게를 두고 있다.

공기를 통한 전염이 되려면 ▶일정한 방향으로 계속 바람이 불어야 되고 ▶저온(섭씨 15도 이하) 에 적당한 습기(습도 70~80%) 가 있어야 하며▶산 등 장애물이 없어야 하는등의 조건이 갖춰져야한다.

실제로 지난 1981년 프랑스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바람을 타고 영국으로 넘어간 사례도 있다고 농림부는 설명했다.

기상청 관계자도 "중국 타클라마칸사막 등 내륙 깊숙한 지역에서 발원한 황사는 편서풍을 타고 4~5일만에 한반도에 도착한다" 며 "이달에 발생했던 황사는 예년의 15배 수준이어서 구제역 바이러스가 황사바람을 타고 넘어올 개연성은 충분하다" 고 말했다.

김옥경 수의과학검역원장은 "이번 한국과 일본 3개지역에서 발생한 전염병 바이러스 모양이 비슷한 점으로 미뤄 구제역 발생국가로부터 공기전파됐을 가능성이 높다" 고 말했다.

특히 중국 여행객.수입 건초.야생동물 등 다른 전파 가능성이 배제된 상태에서 황사가 매개한 것이 확실하다면 가축 전염병이 다른 지역에서도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그러나 ▶중국에 지리적으로 더 가까운 해안가 지역에서는 발병하지 않은 데다 ▶한국보다 거리가 먼 일본에서 지난달 12일 먼저 발생했다는 점을 들어 ´황사´ 외에 수입건초.축산물.해외여행객들의 소지품 등에 묻어서 전염됐을 가능성도 점쳐지고있다.

이에 따라 정확한 유입경로는 바이러스 검사결과를 통한 각국의 구제역 바이러스 비교를 통해서야 확인될 전망이다.

홍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