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을 입은 경우

중앙일보

입력

이렇게 응급처치 하세요

1 즉시 흐르는 물에 식힌다

차가운 물로 열기를 식혀 고통을 줄이고 염증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수돗물을 틀어둔 채로 가능한 한 오랫동안 식힐 것. 너무 오랫동안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20~30분 동안 상처 부위를 흐르는 물에 식힌다.

2 얼굴이나 머리에는 얼음 주머니를 이용한다

얼굴이나 머리 등 직접 냉수를 끼얹을 수 없는 곳의 화상은 얼음 주머니를 환부에 살짝 대서 열기를 식힌다. 얼음 주머니는 쉽게 구할 수 있는 비닐 봉지에 얼음과 약간의 물을 넣어 만든다. 계속 새 얼음으로 교체해 주는 것을 잊지 말자.

3 옷은 벗기지 말고 입은 채로 식힌다

아이가 옷을 입은 상태에서 뜨거운 것을 뒤집어썼다면 억지로 옷을 벗기지 말고 옷을 입은 상태에서 찬물을 끼얹는 것이 원칙이다. 무리하게 옷을 벗기려 하면 피부가 벗겨질 위험이 있고 옷을 벗기는 시간도 아깝기 때문. 화상을 입었을 때는 곧바로 열기를 식혀 주어야만 상처가 덜하고 고통도 경감되는 것을 잊지 말자.

4 바르는 약은 쓰지 않는다

열기를 식힌 후, 희미하게 붉은 기가 남는 정도라면 집에서 치료해도 좋다. 단, 연고같이 바르는 약은 바른 뒤가 불결해지기 쉬우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청결한 거즈를 대고 밴드를 붙여서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최상.

이건 꼭 알아두세요!

덴 정도에 따라서 치료도 다르다

화상은 덴 부위의 깊이에 따라 1, 2, 3도 화상으로 구분하며, 얼마나 넓게 데었는가에 따라 몇 %의 화상이라 말한다. 가벼운 1도 화상은 집에서 치료해도 좋으나, 2, 3도 화상인 경우는 덴 곳을 차게 식혀 주면서 곧바로 병원에 가야 한다.

  • 1도 화상: 피부가 빨갛게 되면서 부어오르나 물집은 생기지 않는다.

  • 2도 화상: 피부가 빨갛게 되고 타는 듯한 통증 때문에 상처가 붓고 물집이 생긴다. 피부 속 깊은 곳까지 염증이 생기는 상태.

  • 3도 화상: 피부가 하얗게 타서 피부 속 깊은 곳까지 화상을 입은 상태. 피하신경이 타서 오히려 통증을 못 느끼지만 가장 정도가 심한 화상.

아기의 화상은 보기보다 심한 경우가 많으므로 가볍게 생각해서 간단한 치료를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특히 불에 데는 것보다 뜨거운 물이나 국물 같은 액체에 데었을 때가 더 심한 화상일 경우가 많으므로 신경을 써야 한다.

어설픈 민간요법 금물!

민간요법이라 해서 데인 곳에 간장, 된장, 소주, 감자즙, 핸드 크림 등을 바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오히려 세균감염을 일으켜서 더 위험하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아이가 화상을 입었을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차가운 물에서 식혀 주는 것임을 잊지 말자.

아무리 작은 물집이라도 터트리지 않는다

2도 화상부터는 빨갛게 부어오르면서 물집이 생기기 시작한다. 작은 물집이 생겼을 때 그냥 집에서 바늘로 터트리고 연고를 발라주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행동은 곤란하다. 아무리 작은 물집이라도 터트리지 말고 표면에 소독약을 발라 소독한 다음, 소독 거즈를 대고 붕대를 감아준 후 재빨리 병원으로 갈 것!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