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위암 유전적 돌연변이 주요 원인

중앙일보

입력

미국인이나 남미 콜롬비아인과 달리 한국인은 유전적 돌연변이로 위암에 걸리는 확률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위암의 발생기전이 민족에 따라 각기 다르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으로 한국인의 특성에 맞는 위암치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을 나타내주는 것이다.

이런 사실은 고대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김종극(金宗克)교수가 지난 95년부터 미국 휴스턴 베일러의대및 콜롬비아 국립의과대학과 공동으로 위암환자에 대한 연구를 실시, 발표한 논문에서 밝혀졌다. `위암의 발생기전´이라는 제목의 이 논문은 최근 미국 소화기병학회지에 실렸다.

김교수는 한국인 22명, 미국인 26명, 콜롬비아인 20명 등 총 6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적 돌연변이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한번 이상의 유전적 돌연변이가 나타난 경우는 한국 59%, 미국 12%, 콜롬비아 35%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두번 이상의 유전적 돌연변이가 나타난 경우는 한국 50%, 미국 7%, 콜롬비아 15%로, 미국인보다 한국인에서 유전적 돌연변이가 7배 이상 많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연간 위암의 발생빈도는 10만명당 57명으로 콜롬비아와 비슷한 수준의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에서 위암의 연간사망률은 10만명당 7.2명으로 보고돼 있다.

특히 한국과 콜롬비아에서는 유전적 요인외에 헨리코박터 파이로리라는 균의 감염으로 인한 위암발병도 매우 높은 편이다.

이번에 대상이 된 환자의 평균연령은 62-65세였으며 65세 이상에서 1번이상의 유전적 돌연변이가 나타난 경우 48%, 65세 미만에서 17%로 65세이상의 위암환자에서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김교수는 ´만성위염이 오래 지속되면 세포변화가 많이 발생해 유전적 돌연변이가 나타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면서 ´미국이나 콜롬비아에 비해 한국인의 경우에 유전적 돌연변이가 높게 나타남으로써 민족마다 위암의 발생과정이 다르다는 것이 증명됐으며 따라서 한국인의 위암환자 유형에 맞는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영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