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함께하는 '생활방역체계' 전환 조건은…‘50명ㆍ5%ㆍ절반’

중앙일보

입력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실장이 6일 오전 정례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실장이 6일 오전 정례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부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과 일상생활이 동시에 이뤄지는 ‘생활방역체계’로 전환할 수 있는 조건을 발표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고 국민이 일상생활로 복귀해도 의료체계가 이를 통제할 수 있는 코로나19 방역 수준을 제시한 것이다.

생활방역체계 전환을 위한 세 가지 조건

지난 11일 오후 전남 목포항 여객터미널 대합실에서 방역업체 관계자가 코로나19 예방 소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1일 오후 전남 목포항 여객터미널 대합실에서 방역업체 관계자가 코로나19 예방 소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은 6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생활방역체계’로 전환할 수 있는 세 가지 조건을 밝혔다.

먼저 하루 평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50명 이하로 발생해야 한다. 현재 중환자실에 남아있는 병상 수와 중환자의 평균 치료기간 등을 고려해 정한 목표치다. 김 총괄조정관은 “중환자 비율을 전체 환자의 최대 8%로 보수적으로 가정해서 정한 수치”라고 설명했다.

두번째로 코로나19 확진자 중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이들의 비율이 일주일 평균 전체 확진자의 5% 미만으로 유지돼야 한다. 방역망의 통제를 벗어난 사례를 최대한 줄여 집단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현재까지 보건 당국이 파악한 감염경로 미확인 확진자의 비율은 전체의 5~10% 수준이다.

마지막으로 치료 중인 환자의 규모도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어야 한다. 방역 자원과 의료자원을 최대한 아끼기 위해서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 판정 후 격리된 환자는 3500명이다.

높아지는 '사회적 거리두기' 피로도…"무한정 지속할 수 없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졌던 지난 4일 오후 2시 지하철 5호선 여의나루역 2번 출구 앞에 사람들이 몰려있다. 이가람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졌던 지난 4일 오후 2시 지하철 5호선 여의나루역 2번 출구 앞에 사람들이 몰려있다. 이가람 기자

앞서 정부는 지난 4일 외출을 자제하고 자택근무를 장려하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2주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이 기간 동안 코로나19 환자를 최대한 줄여 대중의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김 총괄조정관은 “사회적 거리두기 2주 연장으로 달성하려는 목표는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체계가 통상적인 대응수준에서 코로나19의 감염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환자 발생을 통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지난 2월부터 계속되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대중의 피로도가 높아진 점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정부가 6일 휴대전화 통신기록을 바탕으로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국민이 거주하는 동(洞)을 벗어나 외부활동을 한 경우는 지난 2주간 16% 늘었다.

김 총괄조정관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무한정 지속할 수는 없다. 장기간 유행에 대비해서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이 방역 조치와 조화를 이루는 생활방역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서로에 대한 신뢰와 사회적 연대의식을 바탕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상언 기자 youn.sang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