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 발언 사실일까

중앙일보

입력

정보 당국은 "8천여 폐연료봉에 대한 재처리를 완료했다"는 북한의 주장을 과장된 것으로 보고 있다. 본격적인 재처리 징후가 포착되지 않은 데다 일부 외신에서 보도한 대로 영변 핵단지 외에 '제2의 재처리 시설'이 있으면 그 곳으로 폐연료봉을 이동해야 하는데 그런 징후는 없었다는 것이다. 한.미 정보당국은 이 지역의 움직임을 24시간 감시하고 있다.

정보 당국은 영변의 재처리 시설인 방사화학실험실에서 지난 4월 30일과 5월 1일 등 몇차례에 걸쳐 연기가 포착된 것으로 미뤄 일부 재처리를 했을 수는 있으나 8천여개를 모두 재처리하진 못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미 정보 당국은 북한 외무성 대변인 담화 중 "영변의 5메가와트 원자로에서 계속 나오게 될 폐연료봉들도 때가 되면 지체없이 재처리하게 될 것"이라는 대목도 신뢰하지 않고 있다.

정보 관계자는 "올 들어 영변의 5메가와트 원자로에서 3~4번 연기가 관측됐다"면서 "북한이 이 원자로를 계속 가동할 경우 날마다 연기가 관측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이 8천여 폐연료봉(50t)을 모두 재처리할 경우 순도 94~98%의 플루토늄 28~35㎏을 생산할 수 있다. 과거에는 플루토늄 7kg으로 핵탄두 1개를 만들 수 있었으나 최근에는 기술이 상향돼 5kg이면 가능하다.

따라서 북한 주장대로 재처리를 모두 끝냈다면 핵탄 4~7개를 만들 수 있다. 북한은 현재 핵탄두 1~3개를 만들 수 있는 분량인 플루토늄 10~12㎏을 이미 보유하고 있어 새로 추출한 플루토늄을 더하면 5~9개의 핵탄두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철희 기자chl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