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건강한 가족] 급성심근경색 치료 효과, 비만 환자가 정상 체중보다 좋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4면

병원리포트 대전성모병원 심장내과 김대원 교수팀

비만도에 따라 급성심근경색의 치료 결과가 달라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비만한 환자가 정상 체중인 환자보다 오히려 치료 후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심장내과 김대원 교수 연구팀은 우리나라 급성심근경색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에서 체질량지수(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 BMI)와 사망률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스텐트 삽입술 받고 1년 뒤 #비만 그룹 사망률 가장 낮아 #치료 버텨내는 체력도 한몫

김 교수 연구팀은 한국 심근경색증 등록연구(KAMIR-NIH)에 등록된 환자 1만310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BMI를 기준으로 전체 환자를 정상 체중(BMI 22 이하)과 과체중(BMI 23~26), 비만(BMI 26 이상) 등 세 그룹으로 나눠 관상동맥 혈관 성형술(스텐트 삽입술)을 받고 1년이 지난 시점에 사망률을 비교했다. 뚫었던 혈관이 다시 막혔거나 다른 이유로 심근경색이 발생한 경우, 뇌졸중 등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을 고려했다.

위험한 혈관 막히는 경우도 적어 

그 결과 정상 체중인 그룹은 비만인 그룹에 비해 사망률이 1.5배 높았다. 뚱뚱한 사람이 말랐거나 체중이 정상인 사람보다 수술 후 합병증 등을 잘 극복해낸 것이다. 과체중인 그룹은 비만인 그룹과 비교했을 때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김 교수는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세 가지 이유를 들어 설명했다. 첫째, 비만인 그룹의 연령은 평균 57세로 정상 체중(평균 71세)이나 과체중(평균 63세)보다 젊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나이 등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정한 결과”라면서도 “다만 젊을수록 상대적으로 아스피린 등 약물 처방에 제한이 적다는 점이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둘째, 비만인 그룹은 위험한 혈관이 막히는 경우도 적었다. 급성심근경색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혈전 등으로 막혀 근육이 괴사하고 심장이 멈추는 병이다. 관상동맥은 크게 3개의 혈관으로 구성되는데, 비만 그룹은 이 중 크기가 가장 크고 중요한 가운데 혈관(LAD)이 막힌 비율이 66%로 정상 체중 그룹(72%)보다 낮았다.

셋째, 치료를 버텨낼 체력이 상대적으로 더 강하기 때문이다. 급성심근경색 환자들은 수술 후 운동·식이 제한, 약물 복용 등으로 인해 근육량이 줄거나 영양부족 등을 겪기 쉽다. 비만한 환자는 저장하고 있는 에너지가 많아 이럴 가능성이 작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향후 BMI 외에 복부비만 등 대사성 비만에 대한 평가가 이뤄진다면 좀 더 명확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신호에 개재됐다.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