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문 대통령, 양곤 아웅산 테러 추모비 참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4일(현지시간) 미얀마 양곤 아웅산 국립묘지 대한민국 순국사절 추모비에 분향하고 있다. 추모비는 1983년 10월 9일 아웅산 국립묘지에 북한이 설치한 폭탄에 사망하거나 부상당한 한국 각료와 수행원들을 기리기 위해 2014년 6월 건립됐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4일(현지시간) 미얀마 양곤 아웅산 국립묘지 대한민국 순국사절 추모비에 분향하고 있다. 추모비는 1983년 10월 9일 아웅산 국립묘지에 북한이 설치한 폭탄에 사망하거나 부상당한 한국 각료와 수행원들을 기리기 위해 2014년 6월 건립됐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4일 오후 미얀마 옛 수도인 양곤 아웅산 묘역의 ‘순국사절 추모비’를 방문했다. 문 대통령은 부인 김정숙 여사와 아웅산 테러로 순직한 외교사절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자 추모비를 참배했다.

1983년 북 테러로 숨진 17명 기려

아웅산 테러 사건은 북한이 1983년 10월 9일 당시 버마(미얀마의 옛 명칭)를 순방 중이던 전두환 전 대통령을 노리고 폭탄 테러를 자행한 것으로, 당시 서석준 부총리와 이범석 외무부 장관, 함병춘 대통령 비서실장 등 공식 수행원과 기자 등 한국인 17명과 미얀마인 3명이 사망했다.

추모비는 길이 9m, 높이 1.6m 크기로 같은 시각 한곳에서 순국한 사절들을 기리기 위해 하나의 큰 비석으로 세워져 있다.

추모비 벽 한쪽에는 테러 현장을 바라볼 수 있도록 틈이 있다. 추모비 아래 서로 다른 17개의 면으로 이뤄진 흰색 바닥은 17인의 순국자를 나타낸다. 미얀마 건국 이래 최초로 건립된 외국인 추모 시설로, 미얀마 독립 영웅이자 정신적 지주인 아웅산 장군 등이 묻힌 순교자 묘역, 미얀마를 대표하는 불탑인 쉐다곤 파고다 등 미얀마의 국가적 성지와 인접해 있다는 의미가 있다.

추모비는 2012년 5월, 아웅산 테러 사건 이후 한국 대통령으로는 처음 미얀마를 국빈 방문하고 참사 현장을 찾았던 당시 이명박 대통령이 건립의 필요성을 공식 제기하면서 추진됐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4년 6월 6일 당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제막식이 열렸다. 문 대통령의 추모비 참배는 따라서 한국 대통령으로선 처음이다.

정부 관계자는 “미얀마는 한국전 당시 약 5만 달러 상당의 쌀을 지원해 준 국가로, 양국 간의 오래된 우호와 신뢰로 추모비가 건립됐다”며 “이번 대통령 참배를 계기로 미얀마와 미래지향적 협력관계를 지속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추모비 참배에 앞서 문 대통령은 한·미얀마 경제협력산업단지 기공식 및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기공식에서 “미얀마는 5300만 명의 인구와 30세 미만 젊은층이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는 젊고 역동적인 나라다. 한·미얀마 경제협력산업단지가 한국이 경제성장으로 ‘한강의 기적’을 만든 것처럼 미얀마의 젖줄 ‘에야와디강의 기적’을 만드는 디딤돌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경제협력산업단지는 미얀마 정부(토지 현물 출자)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글로벌 세아의 공동출자로 조성한다. 한국 정부는 대외경제협력기금을 투입해 도로와 전력 등 외부 인프라 설치를 지원하는데,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총사업비는 1300억원 규모다.

양곤=권호 기자 gnom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