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2조원' 국내 시장 벗어나 해외로…'파머징' 마켓 진격하는 제약사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JW중외제약이 베트남 롱안성에 있는 현지 제약사 유비팜(Euvipharm)의 지분 100%를 인수했다고 4일 밝혔다. 2005년 설립된 유비팜은 2013년 캐나다 최대 제약기업인 밸리언트(현 바슈 헬스 컴퍼니)가 인수해 최근까지 운영하던 회사다. 덕분에 베트남에서 가장 현대화된 생산시설을 갖춘 곳으로 평가받는다. 의약품 생산량 기준으로 베트남 내 상위 5위권의 제약사다. 지금까지는 국내 기업이 베트남 제약사의 지분 일부를 인수하거나, 현지에 공장을 세운 적은 있지만, 베트남 제약사 지분 전체를 인수해 직접 운영하는 건 처음이다. JW중외제약 신영섭 대표는 “이번 인수로 베트남에서 첨단 기술과 현대적인 장비를 갖춘 대규모 공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베트남을 발판 삼아 글로벌 시장에 JW 브랜드를 확산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JW중외제약이 지분 100%를 인수한 베트남 제약사 유비팜. 이 회사는 베트남 내 상위 5위권의 생산량을 자랑한다. [사진 JW중외제약]

JW중외제약이 지분 100%를 인수한 베트남 제약사 유비팜. 이 회사는 베트남 내 상위 5위권의 생산량을 자랑한다. [사진 JW중외제약]

국내 제약시장 연 22조원 대에 머물러

JW중외제약처럼 ‘파머징(Pharmerging)’ 시장을 공략하는 국내 제약사가 늘고 있다. ‘파머징(Pharmerging)’은 제약(Pharmacy)과 신흥(Emerging)을 합친 말로 중국·러시아·베트남 등 신흥 제약시장을 의미한다. 국내 제약업체들이 파머징 시장으로 진출하는 건 이미 피할 수 없는 선택이기도 하다. 국내 의약품 시장은 약 22조원(2018년 기준) 선에서 정체 상태다. 이는 글로벌 대형 제약사 1곳의 연 매출에도 미치지 못하는 규모다. 반면 파머징 시장은 연 6~9%의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어 2021년이면 시장 규모가 약 3450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이번에 JW중외가 진출한 베트남 제약시장 역시 2016년 약 47억 달러(5조6894억원)에서, 오는 2020년에는 70억 달러(8조47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규제 리스크 줄이는 데에도 한몫 

공격적인 현지 진출은 JW중외제약 만이 아니다. 대웅제약은 2017년 말 베트남 2위 제약사인 트라파코의 지분 일부를 확보해 다양한 협력 관계를 구축 중이다. 삼일제약은 지난해 베트남 현지 법인을 세우고 2021년까지 호찌민에 안약(점안액) 생산 공장을 세울 계획이다. 신풍제약과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베트남 현지에 생산 공장을 설립해 운영 중이다.

국내 주요 제약사 파머징 마켓 현지 투자 현황. 그래픽=신재민 기자

국내 주요 제약사 파머징 마켓 현지 투자 현황. 그래픽=신재민 기자

이런 직접 투자 방식은 해외 시장 진출 시 외부 위험을 최소화하는 효과도 있다. 현지에서 의약품을 생산할 경우 수입산 의약품에 대한 고율의 관세 부과 등을 피할 수 있는게 대표적이다. 베트남은 한국 제약사들에 있어 네 번째로 큰 수출시장(2018년 기준, 1884억원 수출)이지만, 진입 장벽도 높은 나라로 유명하다. 외국 기업의 베트남 내 의약품 직접 유통 및 판매를 불허하는 등의 규제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현지 생산 거점을 확보하면 이런 규제로부터 자유로워 진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정찬웅 홍보팀장은 “한국제약기업이 내수시장을 벗어나 1400조원에 달하는 글로벌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며 “의약품 수출은 물론 해외 제약·바이오 기업 인수나 지분투자, 다국적 제약기업과의 공동개발 등 다양한 형태의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시장을 확대하는 동시에 현지법인과 공장 등을 세운 현지화 전략도 활발하다”고 전했다. 이수기ㆍ김정민 기자 retali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