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주열 “구조개혁 추진 등으로 해외 경제 충격 대응력 높여야”

중앙일보

입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2019 BOK 국제컨퍼런스'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뉴스1]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2019 BOK 국제컨퍼런스'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뉴스1]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구조개혁 추진으로 경제 체질을 개선을 또다시 주문했다.

 이 총재는 3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9년 한은(BOK) 국제콘퍼런스 개회식에서 “글로벌 무역과 금융의 연계성 확장세가 둔화하는 등 세계화 흐름이 전환기를 맞고 있다”며 “대외 충격을 줄이기 위해 구조개혁 등을 통한 국내 경제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1990년대 이후 세계화의 진전으로 무역과 금융의 연계성이 확대되며 세계 경제 성장을 견인해왔지만 세계금융위기 이후 이런 흐름에 일부 변화가 있다는 것이 이 총재의 진단이다.

 선진국과 신흥국 사이의 국제 분업이 약화한 데 이어 무역 분쟁이 주요 이슈로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분위기가 달라진 데는 세계화의 부정적인 영향 탓이 자리 잡고 있다. 세계화가 진전되며 각국 경제에 미치는 해외 요인의 영향력이 커진 것이다.

 이 총재는 “국제금융시장 통합으로 선진국 통화정책이나 지정학적 리스크가 신흥국 자금 출입에 미치는 영향도 커졌다”며 “(개별 국가가) 통화정책을 자율적으로 펴기 어려워졌다는 우려가 제기된다”고 말했다.

 세계 시장에서 경쟁이 심화하며 승자와 패자가 생겨나고 소득 불평등이 확대된 탓에 일부 국가에서 보호무역 기조가 강화됐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신흥국의 임금 상승에 따른 국제분업 유인이 약화하고 교역이 용이하지 않은 서비스 산업의 성장과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글로벌 연계성의 확대가 한계에 다다랐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국내 경제의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고 이총재는 강조했다.

 그는 “구조개혁을 꾸준하게 추진해 성장잠재력과 일자리 창출 능력을 높이고 경제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며 “경쟁에 뒤처진 사람들을 위한 사회 안전망 확대와 노동력 재배치를 위한 노동시장 관련 제도 개선도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