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형 산불 잦은 강원, 전선 지중화율 8.2%', 산불 대처 방안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강원도에서 발생한 산불은 대부분 초대형이다. 초대형 산불은 주로 4월 고성·강릉 등 영동지역에 발생한다. 지난 4일 고성과 인제, 강릉 등 3개 지역에서 동시에 발생한 산불로 530ha의 산림이 잿더미가 됐다. 여의도 면적의 2배나 되는 산림이 이틀 만에 사라졌다.

강원은 82%가 산악, 동해안 불에 약한 소나무 많아 #양간지풍에 건주주의보 기간 길어 대형 산불로 번져 #다목적 대형 헬기 도입, 영동지역 전선 지중화 주장 #

6일 오전 화재로 폐허가 된 강원도 속초 장천마을 모습. 장진영 기자

6일 오전 화재로 폐허가 된 강원도 속초 장천마을 모습. 장진영 기자

강원 영동지역 산불로는 2000년 삼척 등 동해안 5개 지역에서 발생한 불이 피해 규모가 가장 컸다. 2000년 4월 7일 고성에서 시작된 산불은 8박 9일간 강릉·동해·삼척의 산림 2만3448㏊를 태우고 진화됐다. 당시 불로 2명이 숨지고 15명이 다쳐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또 주택 390동 등 총 808동의 건축물이 불에 타면서 850명의 이재민이 발생하는 등 피해액만 1072억원이 넘었다. 당시 고성 일대 순간 최대풍속은 초속 26.8m로 이번 고성 화재 때와 비슷했다.

강원도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하는 요인으로는 우선 지리적 특성을 꼽을 수 있다. 강원도는 면적의 82%(1만3673㎢)가 가 산림으로 둘러싸인 산악도(山岳道)이다. 동쪽으로 314㎞에 걸친 해안선에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나뉜 강원 영동과 영서는 기후가 다르다. 특히 동해안 지역은 산불에 취약한 소나무 단순림이 많다.

게다가 봄이 되면 양양과 고성 간성, 양양과 강릉 사이에서 국지적으로 강한 바람까지 불어 '양간지풍'(襄杆之風) 또는 '양강지풍'(襄江之風) 이라는 기상 현상까지 나타난다. 영서 지역 차가운 공기가 태백산맥을 넘을 때 역전층을 만나 압축되는 동시에 속도도 빨라진다.

이 바람이 경사면을 타고 영동 지역으로 내려가면 대기가 불안정해지면서 강해진다. 동해안은 해마다 4월쯤이면 전국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이 된다. 강원도 소방본부 관계자는 “건조특보에 강풍 특보까지 더해지면 마른 나무와 풀은 그야말로 ‘불쏘시개’가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산불로 큰 피해를 본 강원 고성군 토성면 용촌리 한 주택이 폐허로 남아 있다. [연합뉴스]

산불로 큰 피해를 본 강원 고성군 토성면 용촌리 한 주택이 폐허로 남아 있다. [연합뉴스]

이 때문에 강원도 만의 특단의 산불 예방과 진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우선 강원도에 다목적 대형헬기를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목적 대형헬기는 화재 진압용 물을 한꺼번에 3000L까지 담을 수 있다. 헬기 가격은 300억원 정도다. 강원도 소방본부가 보유한 헬기는 구조용 소형헬기 2기가 전부다.

강원도와 강원도의회는 수년 전부터 정부에 이 헬기를 강원도소방본부에 배치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최문순 강원지사는 “다목적 대형헬기가 도에 배치되면 산불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 대형 참사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며 “대형 다목적 헬기가 도입되지 않아 초동 진화에 어려움이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강원도에는 또 산불전문 진화 차량도 필요하다고 한다. 산악지대를 자유롭게 누비며 산불을 진압할 수 있는 전문 진화 차량이다.

고성 산불의 발화지로 추정되는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원암리의 개폐기 모습. 화재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붉은색 원)이 검게 그을려 있다. [연합뉴스]

고성 산불의 발화지로 추정되는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원암리의 개폐기 모습. 화재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붉은색 원)이 검게 그을려 있다. [연합뉴스]

대형 산불 예방 대책으로는 송전선로 지중화 여론도 일고 있다. 이번 고성 산불도 전봇대 개폐기에서 발생한 불꽃이 대형 산불의 원인을 제공했다. 2004년 속초에서 발생한 산불의 원인도 고압선에서 일어난 아크(불꽃) 현상으로 추정됐다.

7일 한국전력과 더불어 민주당 유동수 의원에 따르면 2017년 6월 기준 강원의 가공 배전선로 지중화율은 8.3%로 서울(58.4%)과는 차이가 컸다. 강원대 소방방재학부 이시영 교수는 “영동 지방만이라도 송전선로의 지중화가 필요하지만, 비용이 많이 드는 게 문제”라고 했다.

지난해 11월 출범한 동해안산불방지센터의 역할도 강화해야 한다고 한다. 자체 진화 인력은 물론 장비를 제대로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시영 교수는 “전문 진화대, 산불위험예측 시스템의 정교화, 드론·무인감시카메라 등 과학적 장비의 효과적 운용 등 21세기형 통합산불관리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속초=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