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입에서 사라진 한·미동맹 상징 린치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위기의 한국 외교 <상> 

[청와대사진기자단]

[청와대사진기자단]

2017년 1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2년째를 맞은 한·미 동맹이 시험대에 올랐다.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후 누적됐던 이견이 표면화하며 워싱턴에서 한·미 동맹에 대한 의구심으로 번지면서다.

일본이 한때 부러워했던 표현 #미·일동맹엔 ‘코너스톤’ 계속 써

한·미 동맹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징후는 트럼프 대통령의 말과 글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지난 19일까지 26개월(2년2개월) 동안 5950건의 트윗을 올렸다. 그러나 굳건한 한·미 동맹을 상징하는 용어로 쓰여 온 ‘린치핀(linchpin·핵심 축)’은 단 한 차례도 없었다. 물론 자신의 입으로 직접 말한 적도 없다. 동맹보다는 국익을 중시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미·일 동맹을 놓곤 전통적인 ‘주춧돌(cornerstone)’ 표현으로 알렸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2010년 ‘린치핀’ 표현을 한·미 동맹에 처음 사용한 뒤 2016년까지 거의 매년 최소 한 차례 린치핀을 언급했다.

2010년대 초 일본 정부는 “린치핀과 코너스톤 중 무엇이 미국이 더 아끼는 표현인가”를 놓고 분석까지 했다고 한다. 결과는 한·미 동맹에 쓰이는 린치핀으로 나왔다. 일본 고위 외교관은 “티를 안 냈지만 속으론 무지 억울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비핵화 ‘빅딜’ 해법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거부로 벽에 부닥친 뒤 그간 물밑에 있었던 한·미 간 인식 차가 더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백악관 사정에 밝은 워싱턴 소식통은 24일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직후(지난달 28일)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나눈 전화 통화에 대한 청와대의 발표를 놓고 백악관이 당황했다고 전했다. 당시 청와대는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과 대화해 그 결과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알려주는 등 적극적인 중재 역할을 해 줄 것을 당부했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얘기한 것은 ‘미국의 빅딜 방침을 북한에 설명해 달라. 김 위원장이 기존 정책에 수정을 가해야만 제재도 풀리고 대화를 할 수 있다고 설득할 수 있는 건 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밖에 없다. 하지만 김정은이 더 믿는 건 문 대통령이니 그걸 해 달라’는 취지였다”며 “그런데 청와대가 마치 중립적인 제3자처럼 ‘중재자 역할을 부탁받았다’고 밝혀 미국 인사들이 발끈했다”고 전했다.

미국 싱크탱크 관계자는 “한국 미세먼지가 심각하다고 하지만 한·미 간에 끼인 먼지는 더 심각하다”고 비유했다.

워싱턴=김현기 특파원 lucky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