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축참가 실패 후유증 대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정부가 21일 대학생들의 평양축전참가 불허방침을 최종적으로 확정한 가운데 이를 추진해왔던 전대협은 23일부터 제주에서 서울까지의 「통일대장정」 「범국민통일한마당」을 7월1일까지 계획, 막바지 통일열기 확산에 안간힘을 쓰고있다.
전대협의 「통일대장정」은 1천여명의 통일선봉대를 조직해 23일 서울한양대에서 발대식을 갖고 25일 제주에서 재집결한뒤 부산·광주·대전등을 경유, 서울로 북상하면서 평양대회에 관한 대국민 선전전을 전개하고 정권의 반통일성을 폭로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짧게는 지난달 말, 길게는 지난해 12월부터 벌여온 「평양축전참가투쟁」이 「평양입성」으로 연결되리라고 보는 사랍은 전대협내부에서도 거의 없다.
이때문에 평축을 불과 1주일여 앞두고 전대협이 「통일대장정」을 실시키로 한 것은 ▲평축참가 실패에 따른 운동권내부의 후유증을 최소화하고 ▲그 책임이 정권의 반통일적 남북교류정책에 있음을 공식화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운동권내부에서는 전대협이 정국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미리 정해진 방침에 따라 고식적인 운동만을 되풀이해 올상반기 학생운동을 크게 위측시켰다는 비판이 대두되고 있다.
이들 비판세력은 전대협이 올봄의 임금투쟁, 이철규군 사인규명투쟁등 현안을 제쳐둔 채 실속없는 평축참가에만 집착, 정권과의 타헙을 기도했다고 멩비난하면서 「실패가 예정된」 평축투쟁이 끝나면 세력을 규합, 전대협지도부를 공략할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전대협지도부측은 평축투쟁을 통해 ▲국민들 사이에 반공의식이 깨지고 연북·통일의식이 확산됐으며 ▲정부의 대북창구 일원화원칙 허구성이 폭로되는등 어느정도의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하고 있으나 작년 여름의 「조국통일운동」과 같은 대대적인 통일열기가 살아나지 않고 있는데 초조해하고 있으며 「단1명이라도」 공식적으로 평양축전에 참가함으로써 그 돌파구를 찾으려 애쓰고 있는 것이다.
학생들은 7월1일부터 8일간 평양에서 열릴 제13차세계청년학생축전 참가가 정부의 방침에 의해 저지되더라도 전국적으로 5만여명이 참가할 방학중 농촌활동등을 통해 정부의 「허구적 통일정책」을 계속 선전해나갈 계획이다.
8개월 동안의 평축참가투쟁은 23일부터의 「통일대장정」으로 마무리되겠지만 이 과정에서 드러난 학생운동권 내부의 노선다툼이나 정부의 무원칙한 남북교류정책은 앞으로 계속 문제점으로 등장할 전망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