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새 노조 구성에 "기대반 회의반"|파업지도부 참여가 열쇠|경찰철수 안돼 「공정선거」 논란 일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현대중공업 사태해결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이는 새 노조구성을 위한 임시총회 소집일이 28일로 공고됨에 따라 선거향방에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작업은 정상재개 됐으나 노조가 두갈래로 나눠진 상태인 현 단계로서는 정상화가 겉으로만 머물러 노조정상화는 석달 동안 계속되고 있는 현중사태 완전 정상화의 관건이 되고 있다.
그동안 사태인식과 수습에 혼란을 가겨온 노-노분쟁의 해소와 노사협상 재개를 통한 항구적인 관계정립 등 숙제는 노조 단일화에서부터 풀어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총회가 과연 원만하게 치러져 노사 양측이 바라는 결과를 도출해 낼지에 대해서는 「회의반」 「기대반」의 전망이다.
9일부터의 외형상 정상화 국면은 ▲파업 지도부가 피신 중이고 ▲경찰의원 원천봉쇄에다 ▲근로자들이 장기파업에 지쳤으며 ▲각계의 수습중재 활동에 따라 이루어졌다.
정작 당사자인 파업 지도부나 파업 근로자들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조업정상화가 되지않은 점이 가장 큰 「회의반」의 요인으로 지적된다.
파업 지도부는 10일 오후 성명을 내 ▲공권력 즉각 철수 ▲파업 근로자 수배해제 ▲회사측의 고소·고발취하 및 징계·해고철회등을 요구, 이 요구가 받아들여질 경우 사태해결의 협상을 재개하겠다고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은 채 현 노조임시 집행부측의 총회소집이 공고됐다.
임시 집행부측이 파업 지도부의 불참에도 총회공고를 한 것은 사대를 조속히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대부분의 근로자들도 하루속히 새 집행부를 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언제까지 노조가 두 갈래로 갈라져 있을 수만은 없다는 견해이며 임시집행부는 근로자들의 이러한 분위기를 읽고 한때 5월초로 늦추는 것을 검토했던 총회소집을 앞당기면서 파업 지도부와 막후 절충을 통해 노조단일화를 구상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볼 때 총회진행에는 난관이 많다. 우선 이원건씨를 비롯한 파업 지도부의 참여여부다. 이씨 등 34명이 제명되는 등 98명의 파업 근로자들이 현 노조로부터 징계조치를 당한 상태이며 이에 맞서 이씨측은 「조합원 지위보존 가처분신청」을 내놓고 있어 이들에 대한 선거권·피선거권 문제부터가 쟁점으로 등장하고 있다.
파업 지도부의 참여없이 선거가 치러졌을 경우 파업 지도부는 계속 지금처럼 「비공식 노조」로 활동할 가능성이 커 선거 후 또 다른 후유증의 불씨가 우려된다.
이규공 노조위원장 대리는『파업 지도부도 출마할 수 있도록 관계당국에 건의하겠다』고 말하고 있으나 노사 양측의 불법행동에 실정법규를 엄정히 적용한다는 당국의 자세에 비춰 가능성이 거의 없다.
경찰은 현상금까지 내걸고 이씨 등 파업 지도부 검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형편이다.
회사측도 파업 지도부측과의 단절을 밝힌지 오래다.
만약 선거전에 이씨가 붙잡혀 구속되거나 구속이 안되더라도 참여없이 선거를 해야 할 상황이 올때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지 불투명하다.
정지수 선관위원장은 『파업 지도부의 참여가 없으면 재적 과반수의 투표가 안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고 선거과정도 제대로 이뤄질지 걱정』이라고 했다.
이런 가운데 회사안의 경찰철수를 언제, 어떻게 하느냐도 변수중의 하나. 근로자들은 경찰이 회사 안에서 지켜보는 상황에서 선거를 한다는데 대해 강한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다.
경찰의 경비속에 새위원장을 선출할 경우 「관제선거」라는 비난도 예상된다.
임시 집행부의 한 관계자는 『유신 때 계엄 아래서 대통령의 실내체육관 선거를 하는 식이 되어서는 곤란하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경찰은 『회사가 완전 정상화될 때까지 철수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여 귀추가 주목된다.
이번 임시총회는 서태수씨의 사임에 따라 잔여임기 9개월뿐인 보궐선거를 치른다. 여기에 후보자가 난립해 안정적인 지지표를 얻지 못할 상황도 있을 수 있다.
이럴 경우 파업 지도부의 「실세」 목소리가 높아질 수 있으며 소수지지 노조 집행부가 구성될 경우 단체협약타결·장기파업에 따른 후유증 해소 등 난제를 풀어 가는데 어려움이 클 것이란 지적이다.
어쨌든 총회공고로 주사위는 던져졌다. 다수 근로자의 지지를 받는 새노조 집행부 구성으로 현중 사태가 완전 정상화로 갈지, 아니면 또 한차례 악순환의 시발이 될지 장담할 수 없는 판국이다.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노사와 노조내 양측 모두의 이성적 판단과 행동 정상화가 늦어질 경우 직접피해 당사자는 결국 현중 노사 쌍방일 수밖에 없다.
【울산=허상천·안희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