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바꿈" 아쉬운 TV쇼·코미디프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민주화 추세에 따른 소재 폭과 표현 영역의 확대로 활성화하고 있는 방송의 쇼·코미디프로그램이 아직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음이 드러났다.
방송위원회 (위원장 강원용)가 최근 국회에 제출한 88년 연차보고서(87년 9월 1일∼88년 8월 31일)에 따르면 해당기간 중 각 방송사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일반권고대상 7건 중 쇼·코미디에 관한 것이 2건을 차지했다.
이 같은 사실은 초·중·고생들이 가장 좋아하는 프로가 바로 쇼·코미디(36·1%)라고 밝힌 한국응용통계연구소(소장 김호일)의 TV시청 선호조사 결과와 관련,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이 보고서는 일부 쇼 및 청소년 대상 공개방송 프로그램에 특정 가수의 출연과정에서 10대 청소년 방청객들이 과열반응을 일으켜 기성·고성을 연발하는 소란스런 분위기가 여과되지 않은 채 방영되는 사례가 많다고 지적했다.
또 일부 쇼·코미디프로그램은 고성으로 떠들며 싸우는 등 소란스런 분위기, 상대방에게 손찌검하는 습관적인 행위, 욕설 등 거친 표현과 유행어·조어의 남발, 뒷골목 불량배의 행동거지 등이 들어있어 청소년들의 정서함양과 바른 언어 생활을 저해하고 있다는 것.
쇼·코미디에 대한 「일반권고」는 87년 보고서에서도 총 9건 중 3건이나 차지하고 있어 이들 프로의 폐해가 쉽게 사라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87년 보고서는 쇼프로에서 출연자들의 신체과잉 노출, 호화스런 의상, 선정적인 무용 동작 및 현란한 조명, 신체 세부의 근접 화면 등을 지적했다.
청소년 대상 라디오 DJ 프로그램은 진행자의 경박한 언어구사가 문제됐고 야간유흥업소를 무대공연장으로 삼은 일과 사치성 패션쇼를 방영한 것도 소비심리를 자극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 같이 저질스럽고 선정적인 요소들은 잇단 지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화면에서 위세를 떨치고 있어 각 방송사가 방송심의위원회의 권위를 전혀 인정치 않고 있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지난 3일 황금시간대인 저녁 7시부터 9시까지 방영된 양TV의 서울올림픽 국민축제 「영광·서울코리아」를 들 수 있다.
이 쇼프로에 잠가한 여자 무용수들은 전신의 윤곽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비키니 차림으로 온 가족이 모인 안방에 침입했다.
이들 프로그램은 단순히 대중들의 기호에 영합하는데 그치지 않고 나아가 그들의 건전한 의식을 마비시켜 향락주의적인 인생관을 갖도록 하는 적극적인 해악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이처럼 무분별한 요소들은 의식의 형성기에 있는 청소년들을 주요대상층으로 하고 있어 실효성 있는 조치가 절실하다는 의견들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