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중앙시평

군대 신화와 병역의 양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고대훈 기자 중앙일보 기획취재국장
고대훈 수석논설위원

고대훈 수석논설위원

‘오늘의 나는 군대를 다녀와 사람이 됐다’는 ‘군대 신화’가 있다. ‘세월을 때우러’ 가서 ‘청춘을 썩힌’ 군대지만 사람됨을 터득했다는 사회적 믿음이다. “너와 나 나라 지키는 영광에 살았다/(…)/부모·형제 나를 믿고 단잠을 이룬다”(군가 ‘진짜 사나이’)를 불러젖히며 애국심과 사명감을 주입했다. 숨 막히는 규율, 부당한 얼차려, 얼토당토않은 부조리를 견뎌내는 게 사람됨의 숙명적 과정이라고 스스로 세뇌했다. ‘병역필(兵役畢)’이란 훈장을 사회에 내밀고 비로소 ‘사나이’가 됐다. 대한민국의 모든 젊은이, 그리고 그들을 둘러싼 부모·형제·자식·친구·애인에게 병역은 선택이 아니라 숭고한 의무이자 거역할 수 없는 신화였다.

인구 감소하고 군대 갈 청년 줄고 #가짜 양심 기댄 대체복무 판치면 #70년의 징병제는 위기 직면할 것 #병역을 양심에 맡기는 세태 속에 #병력 충원 제도 검토해봄 직하다

군대 신화가 해체되리라는 예감이 든다. ‘양심적’ 병역 거부자에게 대체복무의 길을 터준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변화의 태풍을 몰고 올 나비의 첫 날갯짓일지 모른다. 종교적 신념을 이유로 한 입영이나 집총 거부를 무작정 처벌하는 것은 “양심의 자유 침해”라고 헌재는 선언했다. 이 결정이 매년 500명씩 총 대신 감옥을 택하는 ‘여호와의 증인’에 국한한 거라면 문제가 없다. 하지만 신화를 지탱해 온 징병제(徵兵制)를 뒤흔들 혼돈의 전조일 수 있다.

헌재는 종교적 신념을 양심으로 일반화하는 오류를 범했다. 대법원과 헌재는 양심을 “일의 옳고 그름을 판단함에 있어 그렇게 행동하지 않고는 자신의 인격적 존재가치가 파멸될 것이라는 절박한 마음의 소리”라고 했다. 그 양심의 자유를 헌법은 보장한다. ‘마음의 소리’에 반(反)하는 행위를 강요당하지 않을 권리가 양심의 자유다. 마음의 소리가 양심이라면, 종교뿐 아니라 정치적·윤리적·철학적 양심도 있을 터이고, 그 자유도 보장받아야 한다는 논리가 성립한다. ‘그건 양심이 아니다’고 타인의 내면에 숨겨진 마음의 소리를 어떻게 판단하겠는가.

양심은 예민한 국민 정서를 자극했다. 총을 잡지 않는 게 양심적이고 총을 드는 게 비양심적이라는 모순의 비약을 불러 왔다. 누구는 양심을 지킨 영웅으로 미화되고, 군필자와 그들을 격려한 누구는 비양심적 인간으로 추락했다. 이 양심, 저 양심, 별의별 양심이 다 나올 빌미를 제공했다. 현역병을 모면하려고 온갖 핑계를 들이댈 사이비·위장 양심이 혼돈의 틈을 마다할 리 없다. ‘군대 가지 않을 양심의 자유’를 볼 날도 머지않았다. ‘동족의 가슴에 총구를 겨눌 수 없다’며 통일주의자가 설치고 전쟁 없는 세상을 요구하는 반전주의자, 성적 소수자, 인도주의자 등이 양심을 앞세워 군대 신화를 끌어내릴 것이다.

고대훈칼럼

고대훈칼럼

양심적 병역 거부자의 대체복무를 놓고 논쟁이 시작됐다. 기간을 현역보다 2~3배로 늘리느니, 고된 일을 시키는 징벌은 되니 안 되니, 양심과 비양심을 가려내는 일을 누가 맡니 하며 갑론을박이다. 연간 30만 명의 입영 자원 중 0.2%에 불과한 특정 종교인의 대체복무를 위해 떠는 호들갑은 아니리라. 앞으로 수천~수만 명의 양심 좀비가 어슬렁거릴 것을 국회도, 국방부도, 국민도 지레짐작하는 건 아닐까. 인구는 뚝 떨어지고 군대로 뽑아갈 청년은 팍팍 줄어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이비 양심에 기댄 대체복무의 꼼수까지 판친다면 징병제의 근간이 휘청댈 수 있다.

헌재 결정 후 “대체복무는 모병제(募兵制)로 가는 길목”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청년 4명 중 1명꼴로 최악의 실업 위기를 겪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직업 군대가 신규 일자리를 창출해 실업을 해소하고, 30만 명의 청년을 군대 밖으로 풀어줌으로써 출산 절벽도 완화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지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왕성한 20대에게 선택의 기회를 줘야 할 필요는 있다. 내년 입대가 예정된 손흥민 선수에게 군에서 동네축구를 하도록 강요하는 건 너무 잔인하다.

모병제에는 돈이 많이 든다는 반대가 있다. 현재 월 30만~40만원을 받는 39만 명의 장병(이병~병장)을 절반인 20만 명으로 감축하고 연봉 2000만원대의 공무원 9급 초봉을 준다고 가정할 때 대략 3조~4조원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한다. 올해 ‘일자리 안정 자금’에만 3조원을 푼 게 문재인 정부다. 돈은 걸림돌이 안 된다는 뜻이다. 그러나 ‘국방의 의무’를 바꾸는 일은 헌법 개정 사안이다. 국민적 합의가 없는 한 불가능하다.

시간 때우기에 급급한 오합지졸의 머릿수가 북한 핵 위력 앞에서 어떤 의미일까. 밥벌이의 무거움을 아는 직업 군인이라면 더 강한 군대를 만들 수 있을까. 모병제로 전환한 미국·영국·프랑스·독일 등 100여 국가는 성공적일까. 병역을 양심에 맡기는 세태라면 모병제를 포함해 병력 충원 제도를 두루 재검토해봄 직하다. 이제 낡은 군대 신화에 작별을 고하면서.

고대훈 수석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