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시평] 개혁 과제와 새로운 국가지도층의 부상
조윤제 서강대 명예교수·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한국 경제가 이만큼 성장, 발전해 온 것은 당시 시대가 당면한 도전과 과제에 나름 적절한 대응을 해왔기 때문이다. 한국 경제는 지금
-
[중앙시평] 트럼프 당선이 우리 외교에 미칠 영향
위성락 전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리셋 코리아 외교안보분과장 미국 대선이 1년 남았다.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이 없지 않다. 현재 트럼프의 전국적 지지도는 바이든보다 약간 높고, 경합
-
[중앙시평] 백정의 아들이 선사한 서양의학
장하석 케임브리지대 석좌교수·과학철학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에 가면 한쪽 구석에 아늑한 역사관이 있다. 다들 모르고 그쪽을 찾지 않기 때문에 아주 조용하다. 병들어 고생하는 가족
-
[중앙시평] 평생학습은 미래의 권리이자 의무
양형진 고려대 명예교수 수학자이기도 했던 영국 작가 루이스 캐럴(Lewis Carroll)의 소설 『거울나라의 앨리스』에는 붉은 여왕의 경주가 나온다. 여왕은 숨 막힐 정도로 빨
-
[중앙시평] 게릴라전 닮아 가는 여권의 선거 전략
이현상 논설실장 물과 물고기의 관계. 마오쩌둥(毛澤東)이 했다는 이 말은 게릴라전의 핵심을 찌른다. 물자와 병력이 부족한 비정규군은 인민에게 기댈 수밖에 없다. 서울 강서구청장
-
[중앙시평] 바이든과 트럼프를 걱정할 때가 아니다
안병진 경희대 미래문명원 교수 전 세계가 바이든 대통령의 노쇠함과 무능을 비웃고 있다. 전 세계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에너지와 능력을 두려워하고 있다. 바이든의 얼굴에는 중동 인
-
[중앙시평] R&D 예산 삭감을 둘러싼 논란
오세정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전 총장 올해 정부 예산안의 주요쟁점 중 하나는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이다. IMF 외환위기 때에도 축소하지 않았던 정부의 연구개발 예
-
[중앙시평] 대추알, 주유소 그리고 도시
서현 건축가·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우리 할아버지는 낙타를 타고 다녔다. 나는 벤츠를 탄다. 우리 아들도 아마 벤츠를 탈 것이다. 그런데 우리 손자들은 다시 낙타를 타야 할 수도
-
[중앙시평] 미국의 리쇼어링, 성공할 수 있을까
김병연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장·석좌교수 미국 정부가 리쇼어링(reshoring), 즉 해외로 나간 제조업을 국내로 불러들이는 정책을 추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에는 주목하지 않
-
[중앙시평] 의대 열풍을 의학 혁명의 동력으로
김명자 KAIST 이사장·전 환경부장관 ‘혁신’은 21세기 유행어다. 혁신의 아이콘은 과학기술이다. 근대적 의미의 과학연구가 제도화한 것은 베를린 훔볼트대학(1810년 설립)에서
-
[중앙시평] 대한민국은 지금도 국가건설 중
조윤제 서강대 명예교수·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대한민국 정부수립 75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 웬 국가건설이냐고 묻는 분들도 많을 것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국가건설은 지금도 진행 중
-
[중앙시평] 탈진실 시대를 사는 법
김은미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2016년 옥스퍼드대학이 매 연말 발표하는 그해의 단어는 ‘탈진실’ 이었다. 탈진실이란, 객관적인 사실보다 감정이나 개인적 신념에 따른 주장이나
-
[중앙시평] 정전 70주년에 외교를 생각한다
위성락 전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리셋 코리아 외교안보분과장 올해는 동맹 70주년이자 정전 70주년이다. 동맹으로 안보를 지켜 정치·경제 발전을 이뤘으나, 전쟁 상태를 평화 상태로
-
[중앙시평] 힘 뺌의 미학, ‘조정’의 재발견
이재민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1799년 여름 조지 워싱턴은 유언장을 작성한다. 말미에 다음을 쓴다. 앞으로 다툼이 생기지 않길 바라지만 혹시나 그러하다면 법원으로 가지 말라
-
[중앙시평] 한국 보수의 선 자리와 갈 길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이번과 다음 칼럼은 우리 보수와 진보의 선 자리와 갈 길을 계속 다룬다는 점을 미리 밝혀두고 싶다. 이 주제를 꺼낸 것은 내년 4월 10일 총선에서
-
[중앙시평]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송인한 연세대 교수·사회복지학·리셋 코리아 보건복지분과장 갈등이 심각하다.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갈등이 심각하다기보다는 제대로 갈등하지 못하고 있다는 표현이 맞겠다. 이해관계가
-
[중앙시평] 저절로 통하는 정치는 없다
이현상 논설실장 삼성 창업주 이병철 회장이 즐겨 쓰던 붓글씨는 ‘경청’이었다. 아들인 이건희 회장에게도 가끔 선물했다고 한다. 기업을 취재하던 시절, 관련 기사를 썼더니 다음 날
-
[중앙시평] 이민청 설립, 좌고우면할 여유 없다
조영태 서울대 교수·인구학 요즈음 많은 사람으로부터 유사한 질문을 듣고 있다. 우리나라 인구문제 해결은 이제 이민밖에 없는 것 아니냐는 질문이다. 60대마저 청년인 농촌지역, 일
-
[중앙시평] 노벨 과학상과 한국의 과학기술 정책
오세정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전 총장 올해도 노벨상 발표 시즌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허무하게 지나갔다. 지난 몇 년 동안은 수상 후보자로 거론되는 한국인들이 있어서 흥미를
-
[중앙시평] 안드로메다에서 온 교훈
서현 건축가·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무슨 역이름이 이렇게나 기냐. 무려 아홉 자다. 그런데 수사어가 길면 뭔가 의심스럽다. 이것도 피해의식이 느껴
-
[중앙시평] 북한의 보이지 않는 전쟁
김병연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장 석좌교수 북한은 안정적인가. 지금 같은 체제가 지속될 수 있을까.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수시로 미사일을 쏘아대는 북한은 겉으로 보기엔 안
-
[중앙시평] 동성결합 법적 편입, 법원에 맡길 것인가?
이은경 법무법인 산지 대표변호사 얼마 전 동료 법조인으로부터 “대한민국 운명은 판사 펜 끝에 달려 있다”는 말을 들었다. “도대체 무슨 근거로 그런 말을 하느냐”고 물었더니 “이
-
[중앙시평] 민주주의 위기와 정치 실종
염재호 태재대학교 총장·전 고려대 총장 민주주의가 위기를 맞았다. 시민들의 정치참여를 가능하게 한 시민혁명은 선거를 통해 대표자를 뽑아 사회나 국가를 통치할 수 있게 하는 민주주
-
[중앙시평] 중국이 러·북의 접근을 견제할까?
위성락 전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리셋 코리아 외교안보분과장 김정은의 러시아 방문은 많은 파문을 남기고 끝났다. 이제 세간의 관심은 러·북 정상회담의 후속 진전과 중국의 행보에 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