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농부의 마음으로 … 성악가 연광철 세계 오페라 정복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올해 호암상을 받은 연광철.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올해 호암상을 받은 연광철.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저는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산골에서 태어나 자랐고, 고등학교 3학년 때에 처음으로 피아노를 쳤습니다.”

아버지 소 판 돈으로 노래 시작해 #뉴욕·런던 등서 20년 넘게 맹활약 #“늘 준비하라, 기회는 언젠가 온다”

지난 1일 성악가 연광철(53)의 2018 호암상 예술상 수상 소감이다. 고향은 충북 충주. 호롱불을 켜고 살던 집에서 태어나 어둠이 무서워 큰소리로 노래를 불렀던 연광철은 공업고등학교를 나와 아버지가 소 한 마리를 판 돈으로 청주대 음악교육과 등록금을 냈다. ‘본토 사람들이 어떻게 노래하는지 보자’는 생각으로 1990년 불가리아 소피아를 거쳐 독일 베를린에 갔다.

93년 플라시도 도밍고 콩쿠르 우승 후 빠른 속도로 세계 무대를 점령했다. 도밍고와 지휘자 다니엘 바렌보임이 강력한 후원자로 그를 대형 무대에 추천했다. 연광철은 뉴욕 메트로폴리탄, 밀라노 라 스칼라, 런던 코벤트 가든 등 오페라 가수들의 꿈과 같은 무대에 일상적으로 초청받았다. 그 일이 20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뉴욕에서 시작해 빈·파리·베를린·뮌헨 등에서 베르디·바그너·모차르트의 오페라 작품에 출연한다.

농부의 아들을 오페라 본고장의 주인공으로 만든 힘은 무엇이었을까.

뉴욕에서 구노 오페라 ‘로미오와 줄리엣’의 로렌스 신부 역할을 지난달 마쳤는데.
“사실은 별로 빛나지 않는 역이었다. 고음도 없고 드라마틱 하지도 않고 로미오와 줄리엣 주례 보는 정도였다. 매년 한 작품은 새로운 것을 하려 한다. 내년에는 마스네 오페라 ‘마농’을 처음 한다.”
동양 사람에게 잘 맡기지 않는 바그너 ‘파르지팔’ 구르네만츠를 위주로 수많은 배역을 해내지 않았나.
“이미 많이 해봤던 작품에서는 타성에 젖지 않기 위해, 또 오페라 언어는 나에게 다 외국어이기 때문에 노력을 많이 한다.”
독일어 발음이 정확하다는 평인데.
“독일어를 쓰는 지역은 넓다. 예를 들어 ‘에’ 발음도 오스트리아 빈에서는 더 좁고 날카롭다. 이탈리아어도 그렇다. 얼마 전 한 동료가 내 노래에 볼로냐 사투리가 있다고 하더라. 외국인으로서 그렇게까지 알기는 힘들다.”
지휘자가 지역발음을 요구하나.
“아니다. 관객 입장에서 보는 거다. 듣는 이에 따라 가사를 다시 공부해야 한다.”
독일 가수들도 그 정도로 세심하게 언어를 연구하나.
“내가 독일 사람이었으면 내 독일어가 진짜라고 생각했겠지. 하지만 나는 외국인으로서 살아남아야 했다. 많은 성악가가 말(가사)보다 음악(소리)이 먼저라고 생각한다. 좋은 소리를 내려고 가사를 뭉개고 가는 경우가 많다. 나는 그걸 달리기만 빠르고 공을 못 차는 축구 선수 같은 거라고 본다. 소리 자체는 예술이 아니다.”
성악가로서 주고 싶은 감동의 종류는.
“노래를 시작할 때는 먹고 사느라 했다. 안정적인 삶을 위해서. 하지만 이제는 작곡가와 청중의 매개체 역할을 하고 싶다.”
노래를 시작하기까지는 힘들었지만 비교적 수월하게 경력을 쌓아나간 것으로 보인다.
“처음에 베를린 오페라 극장에서 2년마다 계약을 다시 했다. 처음 3~4년은 두꺼운 전체 악보 중에 딱 한 페이지만 나오는 역할도 했다. 그때 하나도 절망적이지 않았고 오히려 돈 받으면서 공부를 할 수 있다는 기쁨이 있었다. ‘내년에 밀라노 라스칼라에 서야지’ 이런 목표가 있었으면 힘들기만 했을 거다.”
도밍고·바렌보임 등 후원자가 많았다.
“후배 성악가들에게도 하는 얘기다. 기회는 누구에게나 오는데 그때 준비가 돼있는지가 중요하다고. 93년 도밍고 콩쿠르의 베를린 지역 예선에서 원래 떨어졌다가, 본선 진출자 중 한 명이 감기에 걸리는 바람에 본선에 불려갔다. 그 사이에 4개월 정도가 있었는데 좌절하지 않고 계속 노래를 한 덕분에 우승을 했다. 그때 놀고 있었으면 기회가 없었을 거다.”
은퇴 후 시골에서 살겠다고 했는데.
“60세로 생각했는데 지금 보니 너무 얼마 안 남았다.(웃음) 계절 변화를 알아차리면서 살고 싶다. 아버지의 농사일을 도우면서 자랐다. 사과꽃을 솎아내고, 사과 중에 큰놈은 남겨서 내년을 준비하며 자연의 섭리와 인내를 배웠다. 농부가 욕심내지 않듯이 오페라 무대에서도 인내하며 여기까지 왔다.”  

김호정 기자 wisehj@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