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준화지역 고입 올해는 현행대로|시행령개정 늦고. "존석"·"해제"여론 엇갈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고교평준화조정권이 각시·도교위에 넘겨졌으나 서울을 비롯한 전국21개 평준화지역에서 89학년도 고교임시는 현행 평준화방식으로 치러질 전망이다.
이는 평준화해제조치를 뒷받침할 교육법시행령개정이 늦어지고 있는데다 일부지역에선 평준화 존속·해제의견이 엇갈려 주민여론을 모아 8월초까지 입시요강을 확정, 발표하기에는 시일이 너무 측박한 때문으로 가장먼저 평준화를 풀것으로 예상됐던 군산·안동등 중소도시에서도 89학년도 입시는 현행대로 치를 방침이다.
12일 본사의 전국취재에서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등 5대도시와 도청소재지 지역은 대부분 해제검토보류원칙을 세워놓거나 평준화해제와 유지를 놓고 지역여론이 펭팽히 맞서고, 진주·마산등 일부 중소도시는 평준화유지쪽이 우세해 일단 현행방식을 유지한뒤 교육자치제실시후 해제여부를 적극 검토할 방침으로 확인됐다.
78년 평준화조치를 실시한 성남은 고입제도개선을위해 지난5일 중학교학부모 5천2백여명과 고교교장 11명등을 상대로 고교입시제도개선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 고교별전형·평준화 학군내 선지원 후시험등 개선요구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8월초에 입시요강을 확정해야 하는등 입시 일정이 여론을 충분히 반영해 개선안을 마련하기에는 너무 촉박하다고 판단 결정을 보류키로했다.
군산은 「지역발전협의회」「청년회의소」등 지역단체가 평준화해제운동에 앞장서고 지난4일 1만여명의시민이 해제촉구서명을 하는등 평준화해제가 주민숙원사업이 되다시피해 89학년도부터 평준화를 해제할 방침이었으나 교육법시행령개정이 늦어지는 바람에 90학년도로 미루었다.
또 안동과 목표·천안등도 평준화를 해제해야 지역교육을 발전시킬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하나 촉박한 입시일정과 중3학생들의 부담감때문에 해제시기를 90학년도로 잠정결정한 상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