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환씨 검찰 출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새마을운동 중앙본부 전 회장 전경환씨(46)가 검찰의 소환을 받고 공개 수사 8일 만인 29일 오전 검찰에 자진 출두했다. 전경환씨와 새마을운동중앙본부 부정사건을 수사중인 대검 중앙수사부 3과장 이명재 부장검사는 28일 오후 전화로 전씨를 소환, 29일 오전 10시까지 검찰청사로 출두토록 요구했었다. <관계기사 10, 11면>
오전 9시 58분 양복차림으로 검찰에 도착한 전씨는 12층 이명재 부장 검사실에 잠시 들렀다가 15층 조사실로 옮겨 조사를 받고있다.
검찰은 『전씨를 상대로 비밀구좌 등에서 밝혀진 공금 70억원의 횡령부분과 이권 개입 여부 등을 집중 추궁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은 전씨에게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횡령·배임·알선수재)·특정범죄가중처벌법(알선수재·탈세)·공유수면매립법위반죄 등을 적용, 문청(44·전 홍보부장)·정동희(47·전 경리부장)·황흥식(37·전씨의 동서)씨 등 4∼5명과 함께 구속할 방침이다.
한편 검찰에서 8일째 조사 받던 전씨의 동서 황흥식씨가 29일 오전 전씨의 출두에 앞서 혀를 깨무는 등 두 차례 자살을 기도, 병원에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검찰관계자는 『그 동안 전씨 측근 인물·비밀장부 등의 조사를 통해 전씨의 횡령 액 규모는 70억원 정도로 밝혀졌다』며 『전씨가 범행을 부인하더라도 모든 증거가 확보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전씨가 7년 동안 새마을운동을 내세워 사용한 자금은 모두 1천 2백억원 규모이며 그중 10%쯤인 1백 20억원이 전용·유용·횡령된 것으로 드러났다』며 『그러나 현재 횡령 액으로 확인된 형사처벌 대상은 70억원쯤이고 나머지 50여억원은 자금조성 경위가 분명치 않아 계속 수사하고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전씨가 6·29 이전까지는 지도자 육성재단 이사장으로 있으면서 영종도 개발에 모든 자금을 투자한 것으로 밝혀졌으나 87년 7월 이후에는 「긴박한 목적」으로 돈이 필요하다며 개인재산을 늘리는데 주력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전씨의 「긴박한 목적」을 해외도피나 국회의원 출마 등으로 해석하고있다.
검찰의 한 간부는 『전씨의 구속은 횡령이 중심이 될 것이나 구속 후에도 이권개입·청탁 부분 등에 대한 보강 수사가 계속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간부는 그러나 『이 사건의 성격상 주범은 전씨와 측근 몇 명뿐이고 나머지는 마지못해 가담한 것이므로 많은 사람이 구속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하고 현재 구속대상은 4∼5명이나 전씨의 조사결과에 따라 2∼3명이 늘어날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