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급 회담, 연락채널 복원이 우선 … ‘평창’ 넘어 남북관계 전반 논의할 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조명균. [연합뉴스]

조명균.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남북대화 용의를 밝힌 후 관련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김 위원장의 신년사 이후 28시간여 뒤인 2일 오후 조명균(사진) 통일부 장관이 고위급 남북 당국회담을 제안하면서다. 조 장관은 “회담 제의는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에 대한 호응”이라며 “사전에 북측과 교감은 없었지만 미국과 긴밀하게 협의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통일·국방·문체부 함께 나설 가능성

정부는 남측의 제안에 대해 북측이 시기와 장소를 역제의할 수는 있겠지만 제안을 수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도 “김정은 위원장이 신년사라는 공개적인 방식으로 대남 대화 제의를 한 이후 남측이 공식 제의했기 때문에 금명간 북측의 호응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 당국자는 “2013년 남북이 회담 직전 대표의 격(格) 논란으로 회담 자체가 무산된 적이 있다”며 “평창 겨울올림픽 개막일(다음달 9일)이 얼마 남지 않아 남북한 당국이 최대한 빨리 만나 실무 문제를 협의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형식과 내용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입장을 정리했다”고 말했다.

남북 간 회담이 성사될 경우 정부는 북측의 평창 올림픽 참가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는 입장이다. 북한 선수단 참가는 물론 고위급 인사와 응원단의 방한에 대해서도 얘기를 나눌 가능성이 크다. 동시에 군사긴장 완화 등 경색된 남북관계 복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분위기를 끌어 간다는 계획도 세웠다고 한다.

관련기사

이날 정부가 ‘고위급 남북 당국회담’으로 부른 것도 체육회담에 국한하지 않고 남북관계 현안 전반을 논의하는 장으로 활용하겠다는 의미다. 그래서 실무회담이 아니라 광범위한 문제를 논의할 수 있는 장관급 이상을 뜻하는 ‘고위급’으로 표현했다는 것이다.

대표단 구성은 남북이 연락관 접촉 등을 통해 확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경우에 따라 통일부와 국방부·문화체육관광부 등 연합군으로 꾸려질 수도 있다. 그러나 2016년 2월 이후 남북 간 판문점 연락 채널이 단절돼 있어 협의가 어려운 상황이다.

북측이 일방적으로 단절한 채널을 복원하지 않는다면 이번처럼 언론을 통한 ‘마이크 제안’ 또는 군사분계선상에서 문서를 주고받아야 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남북 간 연락 채널 복원이 회담이나 남북관계 복원에 대한 북한의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잣대가 된다는 평가다.

문제는 정부의 구상대로 ‘체육회담 플러스 알파’에 북측이 호응할지 여부다. 비핵화나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단을 남북이 각각 조건부로 내걸 경우 회담 분위기가 난관을 맞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정용수·전수진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