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산·학·연 묶어야 "과학성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12·16선거가 끝나고 내년2월 우리는 새대통령과 새정부를 갖게된다. 16년만에 우리손으로 직접 대통령을 뽑은 만큼 새정부에 대해 각계에서 거는 기대나 요구는 크다. 과학·기술계의 기대도 그중의 하나. 특히 지난 20여년간 대통령의 특별관심 아래서 이만큼 자리를 굳혀온 과학·기술계는 과학이 자칫 정치나 사회개혁의 뒷전에 밀려 소홀히 다뤄지지나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한번의 정체가 두고두고 후유증을 남기기 때문이다.
◇양철학 (49·서울대자연대부학장)
새대통령은 올림픽이후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지금의 추세로 보아 서울올림픽후 우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과학과 기술이다. 더욱 모든 분야에서 과학적 사고, 즉 합리주의가 정착할 것이다.
따라서 새 정부는 과학기술정책이 사회변화속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방향을 확고히 잡아주길 기대한다. 지금 과학기술개발의 흐름이 멈칫하면 우리는 영원히 선진국대열에서 탈락할지도 모른다.
또한 대학의 기초과학연구는 첨단기술확보를 위해서 이대로 두어서는 안된다. 대학이 시끄럽다고 외면하지 말자. 이공계박사학위 소지자의 80%가 있는 대학의 발전이 바로 2000년대 세계10위권의 기술선진국이 되는 지름길이다. 언제까지 우리의 젊은이가 외국연구실에서 성과를 올리도록 방치해둘 것인가.
◇김철우(61·포정제철 산업과학기술연구소장)
국토가 좁고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우리는 국민의 창조력 계발을 통해 유형·무형의 부가가치를 창출해 발전하는 수밖에 없다. 이 부가가치는 바로 과학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얻어진다.
따라서 연구개발투자의 획기적 전환이 필요하다.
국민총생산(GNP)의 2%에도 못 미치는 현재에서 5%까지는 끌어올려야 선진국과 경쟁이 될 것이다.
기업·대학·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 산발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연구개발활동은 아직까지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지 못하고 있다. 연구행정도 비능률적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새정부는 민간과 합동으로 대통령직속 과학기술자문위원회를 두길 바란다. 여기서 산·학·연에 걸친 국가적 연구개발 노력을 강력히 펴나가야 한다.
한편 곧 닥쳐오는 21세기에 대비해 기초과학연구의 비중을 높여 창조적 연구능력을 양성해야한다.
◇박종철 (45·표준연구소연구기획부장)
우리는 지난 수년간의 노력의 결과로 연구개발의 기반이 어느 정도 구축되어 있으며 2000년대를 위한 장기계획도 수립되었다.
이제는 무엇보다도 지속적이고 중점적인 연구비의 지원이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된다. 과학기술투자에서 선진국수준은 GNP의 3%선이다. 우리도 빨리 이 정도의 투자가 이루어져야 기술선진국이 될 것이다.
그러나 과학기술투자의 결과는 단기간에 나타나지 않는다. 눈에 보이는 효과를 얻는데 급급하지 말고 장기적인 목표달성이라는 자세를 가져야한다. 이를 위한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이제 연구기관의 통·폐합같은 급격한 변혁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과학·기술인의 실질적인 지위향상을 위해 연금제도와 같은 복지정책이 확립되어 많은 사람이 이 길에 동참할수 있게 해야한다.
◇김대규 (45·데이터통신상무)
새 대통령은 우리나라를 정보화 사회로 발전시킨 훌륭한 지도자로 기록되길 바란다.
우리는 지금 정보화 시대, 또는 정보화 물결로 표현되는 사회발전의 변혁기에 직면해있다.
다가오는 정보화 사회에서는 컴퓨터와 통신기술이 엮어내는 정보통신이 신경조직이다.
선진국들은 이 분야에서 비교우위를 이용, 전략무기로 삼아 시장개방압력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대응책은 상당히 미흡하다. 정부의 정책기능도 체신부·과기처·상공부등으로 분산되어 효율적 추진이 어렵다.
새로 출범하는 정부는 정보통신을 전략육성산업으로 정하고 이를 강력히 추진하는 기구를 설치하길 기대한다. 이 기관은 민간과 정부의 사업을 조정·통괄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재곤 (30·한국과학기술원박사과정)
국내에서도 우수한 과학두뇌를 양성할수 있도록 연구소나 대학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아쉽다.
아직도 국내인력보다 유학에서 돌아온 박사들에게 특혜를 주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국내에서 양성한 고급인력이 연구개발의 주력이 될때 자연히 사라지게 될것이다.
새정부는 국내 양성인력의 질을 높이는 활동을 펴기 바란다. 이를 위해 대학의 학위과정 학생에게 지원이 필요하며 박사후 해외연수기회가 확대되길 고대한다.
앞으로 예견되는 고급과학기술인력의 취업난도 대책이 시급하다. 기업들의 연구개발의욕을 북돋우는 정책으로 인력을 흡수해야 할것이다.
우리가 외국과 동등한 수준의 연구를 하려면 비슷한 연구기자재가 필수적이다. 확정된 기자재도입에 1년씩 걸리는 현 상황에서 무섭게 발전하는 첨단기술을 쫓아갈수는 없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