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인드 채용' 더 밀어붙이는 문재인 정부, 17개 시-도에 "지방공무원 채용에 적극 이행" 압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부겸 행정자치부 장관(오른쪽 셋째)이 6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별관3층 국제회의장에서 전국 시도 부단체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일자리 창출 관련, 제24회 중앙-지방자치단체 정책협의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행정자치부]

김부겸 행정자치부 장관(오른쪽 셋째)이 6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별관3층 국제회의장에서 전국 시도 부단체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일자리 창출 관련, 제24회 중앙-지방자치단체 정책협의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행정자치부]

 #1 경북도는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을 위해  주4일 근무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경북개발공사 등 도내 공공기관에서 주 4일 근무하는 직원을 채용하거나, 비정규 직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면서 근무 시간을 줄이고 여기서 절약되는 비용으로 직원을 추가로 채용하겠다는 것이다.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새 정부 첫 중앙 ㆍ지방 정책협의회 #이용섭 일자리위 부위원장, 반장식 일자리수석 등 참석 #김부겸 행자부 장관 "모든 정책 일자리 중심으로 설계" #경북 일자리 창출위한 '주4일 근무제' 등에 중앙정부 지원 #

 #2 역내 주력 산업인 조선업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울산시는 대형 프로젝트 공사 발주, 기업 투자 유치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추진 중이다.

  #3 광주광역시와 충북도는 각각 청년드림사업(미취업 청년에 일자리 경험 제공), 청년 창업 베이스 캠프 등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나서고 있다.

이들 지자체는 6일 서울 정부청사에서 열린 ‘중앙-지방 정책협의회’에서  역내 일자리 만들기 사업을 알리면서 중앙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처음 열린 이날 협의회에는 김부겸 행정자치부 장관,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이용섭 부위원장, 대통령 비서실 반장식 일자리수석비서관, 17개 시ㆍ도 부시장ㆍ부지사,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협의회에서 행정자치부는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 일자리 중심 행정ㆍ평가체계 구축하고 지역 일자리 창출 지원 등에 나설 것임을 밝혔다.
지역 일자리 창출 지원을 위해서는 지방규제를 개혁하고, 지역 밀착형 일자리를 발굴하며 각 지역별 우수 일자리 모델을 공유할 계획이다.

김부겸 행자부 장관은 “중앙정부의 일자리 정책 성공을 위해 지방의 적극적 이행과 동참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각 지자체들이 지방공무원 블라인드 채용을 적극 추진해 줄 것을 주문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5일 올 하반기부터 입사지원서에서 얼굴 사진을 빼고 지원자의 출신지역ㆍ신체조건ㆍ학력ㆍ학점 등도 적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방안을 발표했다. 전국 149개 지방 공기업도 인사담당자 교육 등을 거쳐 8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이날 정책협의회에서 고용노동부와 일자리위원회는 지역고용실천전략 수립 추진 방안을 설명하고  다양한 지역고용모델 발굴ㆍ확산에 적극 참여해 줄 것을 지자체에 요청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선거 공약이었던 '블라인드 채용'을 새 정부가 강하게 밀어부치는 모양새다. 이날 17개 광역 시·도 부단체장을 불러 모은 것도 그런 일환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블라인드 채용의 부작용과 문제점에 대해서 점검하면서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도대체 뭘 보고, 어떻게 뽑겠다는지 취준생들조차 헷갈린다"는 볼멘소리도 들린다.

 서울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중앙포토]

서울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중앙포토]

염태정 기자 yonni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