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소문 사진관] 전통문화시설로 재탄생한 한옥 상촌재(上村齋)

중앙일보

입력

오랫동안 방치되어 폐가가 된 한옥이 재단장해 전통문화 체험공간으로 다시 태어났다. 21일 개관해 일반에 공개된 상촌재(上村齋)가 그 주인공이다.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2-11(옥인동 19-16)에 위치한 상촌재는 지상 1층 연면적 138.55㎡ 규모로 안채, 사랑채, 별채 3개 동으로 구성됐다.

상촌재 안채의 안방에서 바라본 마루와 건너방. 신인섭 기자

상촌재 안채의 안방에서 바라본 마루와 건너방. 신인섭 기자

상촌재 마루에서 본 마당 모습. 신인섭 기자

상촌재 마루에서 본 마당 모습.신인섭 기자

상촌재 안채 마루와 사랑채(오른쪽). 신인섭 기자

상촌재 안채 마루와 사랑채(오른쪽). 신인섭 기자

서울 종로구청이 2013년 구입한 폐한옥을 재단장해 상촌재로 이름 붙인 뒤 21일 개관했다. 신인섭 기자

서울 종로구청이 2013년 구입한 폐한옥을 재단장해 상촌재로 이름 붙인 뒤21일개관했다. 신인섭 기자

종로구는 지난 2013년 12월 폐가가 된 한옥을 사들여 2015년 9월부터 공사를 시작했다. 보수공사를 하면서 부실한 목재 대신에 철거된 한옥에서 나온 재활용 목재와 함께 강원도 강릉의 육송 목재를 사용했다. 재단장이 끝난 뒤 종로구는 웃대로 불렸던 경복궁 서쪽 지역의 옛 명칭인 '상촌(上村)'을 살려 '상촌재'로 이름 붙였다. 상촌재가 있는 옥인동은 조선 시대 중인 계급이 모여 살았던 지역이다. 지난 2010년 한옥밀집지역으로 지정됐다.

온돌 시설을 볼 수 있게 바닥을 글라스 데크로 만들어 내부를 볼 수 있다. 신인섭 기자

온돌 시설을 볼 수 있게 바닥을 글라스 데크로 만들어 내부를 볼 수 있다. 신인섭 기자

상촌재 별채에는 한글 문화 알림 모니터와 간단한 전시물을 설치했다. 신인섭 기자

상촌재 별채에는 한글 문화 알림 모니터와 간단한 전시물을 설치했다. 신인섭 기자

조선시대 후기의 전통 부엌을 만들어 놓았다. 신인섭 기자

조선시대 후기의 전통 부엌을 만들어 놓았다. 신인섭 기자

상촌재의 사랑채는 온돌의 구조와 원리를 알아볼 수 있도록 온돌 상부를 투명한 글라스 데크로 꾸몄다. 온돌의 열기가 어떻게 전달되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별채에는 한글의 우수성을 알려주는 전시물과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꾸몄다. 부엌도 조선 후기의 부엌을 재현해 놓았고 재래식 화장실도 만들었다. 화장실은 위생상의 문제로 실제 사용은 할 수 없다.

재래식 화장실(뒷간)을 재현해 놓았다. 실제 사용은 할 수 없다. 신인섭 기자

재래식 화장실(뒷간)을 재현해 놓았다. 실제 사용은 할 수 없다. 신인섭 기자

상촌재 안채 옆에 재래식 화장실(오른쪽)이 설치되어 있다. 신인섭 기자

상촌재 안채 옆에 재래식 화장실(오른쪽)이 설치되어 있다. 신인섭 기자

사랑재 안채로 들어가는 중문. 신인섭 기자

사랑재 안채로 들어가는 중문. 신인섭 기자

상촌재를 정면 입구에서 바라본 모습. 신인섭 기자

상촌재를 정면 입구에서 바라본 모습. 신인섭 기자

상촌재는 월요일을 제외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무료로 방문 및 관람이 가능하다. 종로구는 상촌재에서 세시풍속 관련 행사, 한복 제대로 입기 교육 등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한국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장소로 활용할 계획이다.  신인섭 기자

상촌재 뒷편으로도 드나들수 있는 문이 설치되어 있다. 신인섭 기자

상촌재 뒷편으로도 드나들수 있는 문이 설치되어 있다. 신인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