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인 음주량, OECD 34개국 중 22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경기침체에 따른 사회 분위기 변화와 달라진 직장 내 회식 문화 등의 영향으로 주류 산업이 위축되고 있다. 한국은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손꼽히는 ‘음주 대국’이었으나 최근에는 중하위권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 8위서 이젠 중하위권 #경기침체, 회식문화 변화 영향

29일 OECD에 따르면 2013년 기준 한국의 15세 이상 인구의 1인당 연간 알코올 소비량은 8.9ℓ로, OECD 34개 회원국 중 22위를 차지했다. 1위는 12.2ℓ를 마신 것으로 집계된 오스트리아였다.

하지만 군사독재 시절의 강압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음주 문화가 사회 전체를 지배하던 1980년도 한국의 1인당 연간 알코올 소비량은 전체 OECD 회원국 중 8위인 14.8ℓ였다. 33년 만에 국민 1인당 연간 5.9ℓ의 술을 덜 마시게 된 것이다.

2015년 한국의 1인당 알코올 소비량은 10.9ℓ로 전년보다 조금 증가해 순위도 14위로 올랐지만 여전히 1위인 체코의 14.1ℓ, 2위인 호주의 12.6ℓ와는 각각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런 추세는 이른바 ‘2차 술 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 주종인 위스키 판매량에서 두드러진다. 2008년에 284만 상자(1상자는 500ml×18병)로 정점을 찍었던 국내 위스키 판매량은 지난해에는 167만 상자까지 떨어지면서 8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지난해 9월부터 시행된 청탁금지법의 영향까지 겹쳐 룸살롱 등 유흥업소에서의 질펀한 술자리와 접대 문화가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맥주 판매량도 부진하다. 국내 주류업계가 수년 전부터 판매량 통계를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대표적 맥주회사인 하이트진로의 지난해 맥주사업부 매출은 8천27억원으로 2013년의 9천162억원에 비해 12.4%나 감소했다.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