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TONG] [통피니언] 2018·2021 수능제도 어떻게 된다는 거죠?

TONG

입력

업데이트

by 천안여고 지부

2017학년도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지난 12일 치러졌다. 대전 K고 학생들이 문제를 풀고 있다. [사진=중앙포토]

2017학년도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지난 12일 치러졌다. 대전 K고 학생들이 문제를 풀고 있다. [사진=중앙포토]

1994년도부터 실시된 대학입시 제도는 몇 년 넘게 많은 변화를 거처 요즘은 2018학년도와 2021학년도 변화하는 수능제도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오는 11월 16일에 실시될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영어 절대평가가 도입된다. 이에 따라 학생들이 받게 되는 성적표에는 등급만 표시된다. 지금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치르게 되는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은 오는 7월에 발표될 예정이다. 교육단체들은 영어뿐 아니라 모든 수능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새로운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문·이과의 구분이 사라지고 공통과목을 중심으로 교육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로 인해 앞으로는 수능이 쉬워져 수능 변별력 약화에 대한 우려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절대평가 도입이 확정된다면 특목고 및 자사고를 선호하는 학생이 많아져 특정 학교에 입학 준비생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같은 단점만 있는 것이 아니다. 개편안으로 인해 사교육의 부담이 경감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면도 보인다. 개인의 학업성과를 다른 학생의 성적과 비교해 집단 내에서의 상대적 위치로 평가하는 방법인 상대평가와는 달리 절대평가는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어떤 절대적인 기준에 비추어서 평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1등급이라는 상위 성적을 얻기 위해 제한적인 명수 안에 들어가야 한다는 부담을 덜 수 있어 다른 학생들과의 경쟁이 조금은 덜 치열해지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있다.

정부는 입시 부담을 줄여보겠다는 노력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계속해서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오히려 그 시도가 수능 제도를 복잡하게 만들어 혼란을 줄 수 있고, 정권이 바뀔 때마다 수능 제도가 바뀐다는 것은 부정적인 측면으로 보인다. 예를 들면 이명박 정부는 수시 전형 비중 확대를 추진해 수능의 영향력을 줄였고, 박근혜 정부는 한국사 필수 과목 지정과 영어 절대평가를 도입했다. 이러한 모습들을 보면 지금까지 얼마나 많이 제도가 변해왔는지 알 수 있다.

학생들의 우려는 깊어져만 가는 추세이다. 7월에 결과가 나온다면 특목고와 자사고를 결정하는 시기도 짧아질 뿐더러 불안한 시점이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글=이도현(천안여고 2)·남수경·이예진(천안여고 1) TONG청소년기자 천안여고지부

[추천기사]
[대선토론]교육 대통령을 찾아서 ① ‘정시 확대’가 공정할까
(http://tong.joins.com/archives/40525)


▶10대가 만드는 뉴스채널 TONG
바로가기 tong.joins.com

Copyright by JoongAng Ilbo Co., Ltd. All Rights Reserved. RSS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