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황기철 전 해군참모총장 "태평양 바라보는 국가 안보 필요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3월 26일 황기철(60) 전 해군참모총장을 중국 현지에서 만났다. 그는 2011년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대한민국의 민간선박을 구출하는 ‘아덴 만 여명 작전’을 주도했다.

"차기 대통령은 육군 중심의 국방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야"

중국 시안에서 공부를 하고 있는 그는 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배치 문제로 한중 관계가 냉각된 것에 “사드는 한중미일의 관계 선상에서 비롯된 문제로 바라봐야 한다”고 말했다.

왜 중국에 있나.
“군인으로서 바라본 중국은 우리 안보의 중요한 관계 선상에 있는 국가 중 하나다. 특히 현재 중국은 우리와 뗄 수 없는 대상국이다.  자연스레 직접 현지에서 중국 특유의 ‘관시(關係)’ 문화를 토대로 한 안보 정서에 대해 배워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사드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한다고 보는가.
“어쨌든 더 이상 휴전선만을 지키는 구도가 국방의 중심이 되어서는 안 된다. 논란이 야기된 관계 선상에는 미국 중국 일본도 포함돼 있다. 이 사실은 결국 국방 안보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시야를 넓혀 동해에서 저 멀리 태평양을 생각하는 국토 안보를 바라봐야하는 상황에 놓였다. 특히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에서 군사작전의 전개를 고려해봤을 때 현재 ‘육군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새로운 변환이 필요하다. 대한민국은 사실상 삼면이 바다, 위로는 휴전선으로 이뤄진 섬의 상태다. 따라서 해군 중심의 방위개념도 만들어졌어야 했다. 그러나 40년 전 박정희 정권 당시 육군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 일례로 2011년 ‘아덴만 작전’ 역시 우리 국토해양에서 벌어지지 않았다. 안보 개념의 범주를 넓혀야 한다.”
‘아덴만 작전’은 어떻게 진행됐었나.
“기존의 다른 배가 총탄을 맞은 방향과 각도를 살펴보며 머릿속으로 충분한 ‘시뮬레이션(모의실험)’을 그려봤던 게 도움된 것 같다. 무엇보다도 전우애가 승리의 가장 큰 원동력이 됐다. 2011년 1월 20일, 2차 작전을 개시하기 전날 밤이었다. 달이 밝았다. 한 후배가 인사를 하러 왔다. 당장 내일 전쟁터에 나가는데 말쑥한 얼굴로 내게 안부를 물었다. ‘오늘 저녁은 뭘 먹었나’라고 물어보니 ‘닭계장’이라고 했다. 순간 안도의 한숨이 나왔다. 그가 또 다른 메뉴였던 추어탕을 먹지 않은 게 다행이라 생각됐다. ‘작전하다 이 녀석이 미꾸라지처럼 미끄러질 수도 있다’는 미신적인 불안감을 털어버리고 싶었던 것이다.  그때 결심했다. 내일 밤에도 이 후배를 비롯해 모든 전우를 살아서 봐야겠다고. 다음 날 작전 직전 ‘해적이 투항하지 않는 즉시 바로 사살하라’고 명했다.”  
국방의 체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하나.
“통수권자의 의지에 달렸다. 육해공 참모총장과 고르게 만나 수시로 대화해야 한다. 그전까지는 그런 노력이 부족했다.”  
이번 대선 후보 중 누가 차기 통수권자로서 적합하다고 보는가.
“소통을 잘하는 사람이 좋은 지도자라고 생각한다. 국민이 가장 현명하다. 국민께서 잘 선택하실 것이다.”  

한편 중앙일보 4월 8일 자 황기철 전 해군참모총장 인터뷰 보도(“난 국가에 버려진 장수, 당시 6인실 감옥서 미치기 직전”)와 관련해 검찰은 “황 전 총장이 구속 당시 6인실(공무원실)에 수용된 것은 서울구치소에서 수용거실 사정을 고려해 결정한 조치며 검찰은 이 과정에 관여한 사실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검찰은 “황 전 총장이 6인실에 수용되어 있다는 사실을 우연히 알게 된 후 서울구치소에 독거 수용을 요청하는 협조공문을 발송했다”며 “서울구치소가 황 전 총장을 1~2명을 수용하는 소수실로 옮겼으나 황 전 총장이 폐소공포증을 호소하는 바람에 하루만에 6인실로 복귀했다”고 설명했다. 그런뒤 “서울구치소는 재판준비를 위해 조용한 곳으로 옮겨달라는 황 전 총장의 요청을 받아들여 다시 소수실로 이전해 2개월동안 수용한 사실도 있다”고 덧붙였다.

세월호 책임을 해군에 돌리려 정치적으로 통영함 비리수사를 기획했다는 주장에 대해 검찰은 “해군이 2013년12월 통영함의 핵심장비가 불량품이란 사실을 확인하고 인수를 거부한 뒤 방위사업청이 감사원에 감사를 요청했고, 2014년 2월 방위사업청의 요청으로 감사원의 감사가 시작됐다. 이후 감사원은 2014년9월 검찰에 통영합 납품비리 사건수사를 요청해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감사 및 검찰 수사의 착수경위와 배치되는 잘못된 주장”이라고 해명했다. 검찰이 해군의 부식비 등 횡령 사안을 수사했다는 인터뷰 주장에 대해서도 검찰은 “수사한 사실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김포그니 기자 pogn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