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공기정화식물 놓은 방, 빈 방보다 미세먼지 30% 더 없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틸란드시아, 스킨답서스, 테이블목…. 이름조차 낯설지만 최근 가장 ‘잘 나가는’ 식물들이다. 모두 공기 중 미세먼지의 농도를 낮춰준다는 공기정화 식물들이다.

서울 삼성동 한 꽃집에 진열된 틸란드시아. 여성국 기자

서울 삼성동 한 꽃집에 진열된 틸란드시아. 여성국 기자

봄철 뿌연 미세먼지 폭탄이 이어지며 이런 식물들의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 11번가에 따르면 틸란드시아 등 공기정화 식물의 판매량은 지난해에 전년 대비 64% 늘었고, 올해엔 지난해보다 29% 증가했다.

이들 식물을 집에 들여놓으면 공기청정기 만큼의 효과를 볼 수 있을까. 2004년부터 공기정화 식물을 연구해 온 김광진 농촌진흥청 도시농업과 연구관은 “효과는 확실히 있다”고 말했다. 그에게 궁금한 점을 들어봤다.

공기정화 식물이 미세먼지를 잡는 효과가 있나.
“아무것도 없는 것과 비교하면 확실히 효과가 있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가 있나
“1㎥(물 1000ℓ가 들어가는 공간) 정도 크기의 방을 기준으로 실험을 해봤다. 한 곳엔 수염 틸란드시아 화분 3개를 두고 한 곳은 비워뒀다. 미세먼지와 화학 구성이 같은 시료를 날린 후 4시간이 지나자 pm10(미세먼지의 크기) 크기의 먼지가 가라앉았다. 아무 것도 없는 방에선 44%가 떨어졌고, 수염 틸란드시아가 있는 방에선 70% 이상 떨어졌다. 여러가지 공기정화 식물로 바꿔가며 실험했다. 모두 효과가 있었다.”
공기청정기를 들이는 것보다 수염 틸란드시아를 들이는 게 더 나은가.
“‘공기청정기 한 대를 사는 대신 화분 3개를 들이세요’라는 식으로 단언할 수는 없다.  사무실이나 집의 크기가 모두 다르고 먼지를 유발하는 요소가 얼마나 있는지도 다르다. 공기청정기도 어떤 브랜드의 어느 정도 용량인지에 따라 성능이 다르다.”
이런 식물들이 미세먼지를 잡는 원리는 뭔가.
“복합적이다. 아이비나 스킨답서스는 이파리에 왁스 층이 발달됐다. 이 왁스 층에 미세먼지가 붙는 거다. 또 잎에 기공이 나 있는 식물들도 있다. 크기가 PM20 정도 된다. PM10인 미세먼지, PM2.5인 초미세먼지가 이 안으로 흡수된다.”
꼭 위에 언급한 식물들만 효과가 있나.
“아니다. 상대적으로 효과가 높다는 거다. 모든 식물은 음이온을 배출한다. 미세먼지는 양이온이다. 둘이 만나 입자가 굵어진 채 바닥으로 가라앉기도 한다. 공기정화 식물의 경우 이런 기능과 흡착 기능 등이 더해지니 효과가 더 좋은 것이다.”  
주로 어떤 식물이 효과가 있나.
“우리가 실험한 결과로 보면 흙에 심지 않는 식물로는 수염 틸란드시아가 좋았다. 화분에 심는 식물로는 1등이 아이비, 2등이 보스톤고사리, 그 다음이 스킨답서스, 넉줄고사리 순이었다.”
이들의 공통점은 뭔가. 
“고사리과 식물들이 대부분이다.”
왜 고사리과 식물이 많은가.
“역사적으로 가장 초창기에 육지로 올라온 식물 군이다. 당시엔 뿌리가 발달하지 않은 상태니 미생물을 흙에서 얻지 못하고 주로 잎을 통해 공기 중에서 얻었다. 그런 특성이 남아 있다.”
잎이 넓은 활엽수보다 좁고 촘촘한 침엽수가 좋다는 말도 있는데.
“일리는 있다. 이파리가 넓으면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앞면, 뒷면만 닿고 흘러간다. 침엽수는 미세먼지가 그 사이사이에서 계속 유동하기 때문에 잎과 접촉할 기회가 많다. 자연스레 미세먼지가 잎과 닿을 기회도 많아진다.”
미세먼지가 논란이 되면서 최근에야 수입된 식물들인가.
“아니다. 처음 연구를 시작한 2004년에도 국내에서 수입하던 식물들이다. 요즘 인기를 얻고 있을 뿐이다. 물론 원산지는 미국 플로리다주 등 다양하다.” 
미세먼지가 부각되기 전인 2004년부터 공기정화 식물을 연구한 계기는.
“그때부터 새집증후군 등이 사회적 이슈가 됐다. 현대인들은 콘크리트로 자연과 실내를 이중 삼중 차단하고 산다. 식물을 관상용 뿐 아니라 ‘웰빙’을 위한 도구로 써야 할 때라고 생각했다.”

김나한 기자 kim.nah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