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고관절 골절 노인, 수술 할까 말까 고민이라면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김진구 기자]

노인에게 고관절 골절은 매우 심각한 사고이자 질환이다. 나이가 들면서 근육량이 줄고 운동능력이 떨어져 쉽게 넘어지고, 젊었을 때보다 넘어졌을 때 뼈가 쉽게 부러진다. 회복도 더딘데, 누워있는 동안 건강이 급격히 나빠지는 경우가 많다.

실제 50세 이상 여성의 12%, 남성의 5%는 한 번 이상 고관절 골절을 경험한다. 이들의 기대수명은 2년 정도 감소한다. 일상생활 복귀가 어려워 요양기관 등 시설에 입소할 확률도 50%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됐다.


상태가 심각할 때는 수술이 유일한 방법이다. 그러나 노인의 고관절 수술은 위험 부담이 크다. 고령의 환자라도 수술 후 정상생활로 쉽게 복귀하는 환자가 있는가하면, 비교적 젋고 건강했더라도 수술 후 상태가 급격히 악화되는 환자도 있었다.


이와 관련 수술을 해도 되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돼 주목된다. 분당서울대병원 김광일(노인병내과)·이영균·구경회 교수(정형외과) 연구팀은 2009~2014년 고관절 골절로 수술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 4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인 포괄 평가’를 ‘노인 고관절 다면적 노쇠평가 지표’로 변환해 분석헀다.


그 결과,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노인은 저위험군에 속한 노인에 비해 수술 후 6개월 내에 사망할 확률이 약 3배 이상 높았고, 입원 기간이 더 길었을 뿐만 아니라 입원기간 중 합병증 발생 위험도 높았다.


‘노인 고관절 다면적 노쇠평가 지표’는 영양 상태나 동반질환, 수술 전 보행 능력, 정신 기능, 치매 여부, 낙상 위험도 등 8가지 항목을 측정한 결과다.


항목별로 최저 0점에서 최고 2점까지로 평가한다. 최고점은 14점으로, 점수의 총합이 9점 이상인 환자는 고위험군으로, 8점 이하의 점수를 받은 환자는 저위험군으로 분류된다.

김광일 교수는 “고관절 골절 수술 전후에 면밀한 체크와 재활이 필요한 환자를 객관적 지표로 선별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며 “위험도에 따라 환자의 예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면 환자의 상태가 더 적절히 관리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의 최신호에 게재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