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학 앞둔 아이, 지나친 기대가 불안 키운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김선영 기자]

새 학기를 앞둔 시점이다. 특히 취학을 앞둔 아이와 부모는 설렘과 두려움이 교차한다. 초등학교 입학은 독립적인 삶의 첫걸음이다. 첫 학교생활을 잘 시작할 수 있도록 가족과 주변에서 도와줘야 한다. 아이의 즐거운 초등학교 생활을 위한 정신 건강 체크포인트를 알아본다.

학교는 즐거운 곳이란 인식 심어줘야


학교는 다양하고 종합적인 능력이 발달하고 정서적인 성장이 이뤄지는 공간이다. 이 시기를 거치며 아이는 학습 능력 및 주의 집중력, 작업 기억력 등의 전두엽 기능이 발달한다. 인지 기능, 사회성, 충동 조절, 대인관계 형성 능력, 정서적 공감 능력 같은 전반적인 뇌 기능이 활성화한다.

그러나 새로운 환경과 사람, 새로운 자기 역할에 대해 어색해하고 긴장하기 때문에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부모를 포함한 주변 사람은 아이가 학교를 즐거운 곳이라고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부모가 지나치게 기대를 하면 아이는 압박을 받기 쉽다. 이때 불안, 우울, 좌절감을 느낀다. 좌절감 없이 자기 위주로 유아기를 보낸 아이라면 상황에 따라 배려 없이 이기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 작은 좌절도 견디지 못해 선생님이나 또래, 환경을 탓하고 불쾌해 한다. 또래관계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학습 성취도가 낮아 힘들어하기도 한다.

작은 실수 극복할 수 있도록 기다려야


부모는 빨리 적응하라고 다그치거나 규칙을 몸에 배게 하려고 압박하지 말아야 한다. 오히려 많은 변화를 겪어내는 아이를 기특해하고 격려해 줘야 한다. 적응 과정 동안 실수와 자잘한 문제를 견디고 극복할 수 있게 옆에서 기다려 주자. 단체 생활에 필요한 인내와 희생, 배려를 소중하게 여겨줘야 한다.

부모는 아이가 성숙한 방식으로 스스로를 사랑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만약 주의집중력 장애, 우울 장애처럼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질환이 의심될 때나 왕따 문제 등에는 부모가 적극적으로 도와줄 것이라고 표현하는 것도 중요하다.

우리 아이 초등학교 적응을 돕는 팁


-아이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발달 과정을 잘 이해한다.
-규칙을 몸에 배게 하려고 다그치거나 압박하지 않는다.
-적응 과정 동안 겪는 실수와 작은 문제는 기다려준다.
-아이의 독립적인 작은 성취에 대해 기특해하고 격려해 준다.
-주의 집중력 장애가 의심되면 적극적으로 전문가를 찾아 도움을 청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