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위안화 달러당 7위안 눈앞…한국증시·원화 떤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중국의 위안화 가치 하락세가 심상치 않다. 조만간 달러당 7위안 선에 진입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7위안 선으로 위안화 가치가 떨어져 중국에서 자본 유출을 촉발한다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장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

신흥국 통화, 위안화 따라가는 경향
작년 급락 때 국내 금융시장 요동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센터는 새해 첫 거래일인 3일 위안화 기준환율을 달러당 6.9498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전 거래일인 지난해 12월 30일(달러당 6.937위안)보다 0.18% 절하된 수치다. 위안화 환율은 오후 7시40분 현재 달러당 6.9684위안에서 거래되고 있다

시장에선 위안화 가치의 절하 흐름이 올 한 해 이어질 것으로 내다본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투자은행(IB)이 내놓은 3개월 뒤 위안화 환율 예상치 평균은 달러당 7.042위안이다.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7위안 선이 1분기 중 무너질 거란 전망이다. 중국의 개인 연간 환전 한도(5만 달러)가 연초에 풀린다는 점도 위안화 값 하락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6개월 뒤 전망치 평균은 달러당 7.1338위안이다.

위안화 값 하락은 중국 경제에 양날의 검이다. 위안화 값이 떨어지면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이 좋아져 중국 수출에는 도움이 된다. 하지만 위안화 값 하락세가 크면 중국에 투자한 외국인은 환차손을 입게 된다. 외국 자본의 유출이 일어나는 이유다.

이 때문에 중국 외환 당국은 시장에 개입해 위안화 값을 조정하는 게 다반사다. 그 결과는 외환보유액 감소다. 7일께 발표될 중국의 지난해 12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3조 달러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11월 말 기준 중국 외환보유액은 전달보다 619억 달러 줄어든 3조516억 달러로 5년8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위안화 가치를 떠받치기 위해 중국 당국이 시장에 개입한 결과였다. 3조 달러 선이 무너지면 국제통화기금(IMF)이 권고한 중국의 적정 외환보유액(2조8000억~4조2000억 달러)의 하단에 가까워진다. 이 경우 중국 당국이 환율 방어에 적극 나서기 어렵다고 보고 자본 이탈이 가속화될 우려가 있다. ‘위안화 절하→당국 개입→외환보유액 감소→자본 유출 심화→위안화 절하’라는 악순환에 빠지는 셈이다.

문제는 이런 중국의 상황이 국내 금융시장에 악재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이미 국내에서는 지난해 초 악몽을 겪은 경험이 있다. 당시 위안화 가치가 급락하고 해외 자본이 중국에서 빠져나가면서 상하이종합지수가 1개월 만에 27% 폭락했고 국내 증시와 환율도 요동쳤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위안화 값 추락은 가뜩이나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외국 자본이 빠져나갈지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국내 금융시장에 위험요인이 아닐 수 없다”고 말했다. 해외 자본의 유출은 국내 유동성 위축과 시장 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주식시장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상원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보호무역주의를 내세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까지 맞물리면서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애란 기자 aeyan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