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문가들 초·중·고 교육과정 확대 주장|컴퓨터교육 빠를수록 좋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문교부는 지난달 89년시행 제5차 교육과정개편때 초·중학교 실과 등 해당과목에 컴퓨터학습과정을 1단원정도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보화사회에 대비, 보다 광범위한 컴퓨터조기교육을 주장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초·중·인문고 교육과정에 컴퓨터교육이 없다. 컴퓨터교육을 단지 직업교육으로 간주, 소홀히 취급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달 통신정책연구소 노규형박사팀이 실시한 전남지역 실태조사에 따르면 총1백36개교가 8백65대를 보유, 평균 6.4대이며 전혀 컴퓨터가 없는 학교도 21.3%나 됐다.
지난해 고교이하 컴퓨터보급률은 초·중교가 2∼3대, 고등학교 5∼6대로 컴퓨터교육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특히 고교쪽은 실업계에 집중돼 인문고의 보급률은 미미하다. 겨우 시범학교만이 20여대의 개인용 컴퓨터로 특별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훈련받은 교사의 부족은 컴퓨터교육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반면 외국은 컴퓨터를 포함, 정보사회에 대비해 국교에서부터 컴퓨터교육에 주력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83년부터 컴퓨터 보급에 열을 올려 고교의 1백%, 초·중교의 90%가 컴퓨터를 소유하고 있다.
학생과 컴퓨터의 비율이 84년에 3백26대1에서 87년은 23대1로 향상될 전망이다.
1명당 사용시간은 1주에 국교에서는 30분 이하, 중·고교에서는 45분이다. 또한 이용자의 50%가 교사인데 국어·사회등 비관련 교사도 이용률이 높아 우리와 좋은 대조를 보인다.
프랑스는 최근 개편한 국교교육과정에 정보기기 및 관련기술의 소개를 대폭 확대했다.
사회에서의 정보과학 영향, 자동화와 로봇트 등을 과정에 포함시켰으며 초보적인 프로그램도 교과과정에 넣었다.
일본은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에 중점을 두어 학습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하다.
한편 국내에서도 올들어 컴퓨터교육이 강조돼 교육개혁심의회는 강화방안을 의결했으며 관련기관에서 교과과정개선연구팀이 구성되는 등 움직임이 활발하다.
심의회가 의결, 지난달 문교부에 보고한 컴퓨터교육 강화방안을 보면 컴퓨터의 사용경험과 활용능력을 키우는데 중점을 두었다.
심의회는 초·중학 과정에 컴퓨터의 기능, 정보통신지식을 포함시키고 국어·사회·실업교과에 컴퓨터와 관련된 소재를 넣기로 했다.
고교에서는 독립된 선택교과로 컴퓨터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모든 교사들이 컴퓨터에 관한 기본소양과 학습능력을 갖추도록 교육대학원·사범대·교육대에서 컴퓨터를 필수과목으로 부과키로 했다.
이밖에 30학급마다 컴퓨터실습실 1개씩 갖추도록 한다는 것.
심의회는 이를 위해 컴퓨터교육연구센터 설립 등 정부의 재정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통신정책연구소·문교부·체신부 등 7개 기관의 연구원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금년말까지 정보화교육의 방향과 대책·기술 등을 연구해 종합방안을 만들어 문교부에 제출한다. <장재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