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퍼트·조윤선 ‘KS 티켓’ 해프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2면

기사 이미지

리퍼트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는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야구장 회담’을 할 수 있을까. 리퍼트 대사는 최근 조윤선 문체부 장관에게 “프로야구 한국시리즈를 함께 관람하면서 문화·체육 분야에 대한 얘기를 나누자”고 제안했다.

문체부 ‘야구장 회담’ 제안 받자
“구단 표 사면 김영란법 위반인가?”
권익위에 질의 “문제없다” 답변받아

잘 알려진 대로 리퍼트 대사는 한국 프로야구 열성 팬이다. 평소 서울 잠실야구장을 자주 찾아 팬들과 스스럼없이 어울리곤 한다. 리퍼트 대사는 지난 21·22일엔 경남 창원까지 내려가 NC-LG의 플레이오프(PO) 1·2차전을 관람했다. 이어 지난 24일에는 박찬호와 함께 3차전을 잠실에서 지켜봤다.

문체부는 리퍼트 대사의 제안을 받고 국민권익위원회에 유권해석을 의뢰하는 질의서를 보냈다. 한국야구위원회(KBO) 또는 구단이 미리 확보한 입장권을 문체부가 구매한다면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을 위반하는 게 아닌지 물었다. 문체부 관계자는 “권익위가 오늘(27일) 회신한 공문에 따르면 장관과 수행원의 입장권을 문체부가 사는 건 법에 저촉되지 않는다. 업무수행에 필요한 것으로 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영란법 시행 한 달이 지나면서 야구장에도 웃지못할 촌극이 벌이지고 있다. 지난 22일 안상수 창원시장 등 공무원 20여 명이 창원 마산구장에서 PO 2차전을 관람했다. 이들은 KBO의 공식 예매처가 아닌 NC 구단으로부터 입장권을 구매했는데, 김영란법 위반이 아닌지 논란이 일었다. 문체부는 이 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권익위에 질의한 것이다. 조 장관과 리퍼트 대사의 한국시리즈 관람이 확정된 건 아니다. 문체부 관계자는 “일정을 정하기에 앞서 법률 검토를 한 것이다. 다른 스케줄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리퍼트 대사와의 ‘야구장 회담’이 이뤄질지는 두고봐야 한다”고 전했다.

김식 기자 see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