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사 결과가 갤노트7 글로벌 판매 갈림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교환품도 발화했다’는 보도가 처음 나왔을 때만 해도 삼성전자는 이를 블랙컨슈머의 소행으로 의심했다. 하지만 미국·중국·대만 등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신고가 접수되면서 삼성도 제품 결함을 원인으로 보기 시작했다. 그 결론이 제품의 생산 일시 중단이다.

교환품에서 문제가 생기면서 삼성의 결함 분석 능력도 도마에 올랐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최초 출시 때 제품 60~70%가 삼성SDI 배터리를, 30~40%는 ATL 제품을 썼다”며 “30건의 폭발 접수 사례가 모두 삼성SDI 배터리 탑재 제품이었고 ATL 배터리에서는 문제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삼성SDI 배터리를 원인으로 지목할 수밖에 없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교환품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소비자들도 혼란에 빠졌다. 원인을 속 시원히 밝히지 못할 경우 향후 내놓을 제품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정보기술(IT)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최악의 경우 갤럭시노트7 사업을 접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의 조사 결과에 따라 노트7의 운명이 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이 조사 결과는 향후 다른 나라의 판매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노트7은 현재 한국과 중국에서만 판매되고 있다.

지금까지 노트7은 글로벌 시장에서 250만 대(이통사 매입 기준)가량 판매됐다. 교환율은 10일 기준 약 80%다. 미처 교환하지 못한 나머지 20% 소비자들은 삼성전자 판매점에서 언제든 새 제품으로 받아갈 수 있다.

삼성전자는 이미 교환해간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추가 구제 프로그램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통상 스마트폰 환불(개통 철회)은 제조사 약관상 ‘개통 후 14일 이내, 제품 결함이 있을 경우’ 가능하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CPSC 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후속 조치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태희 기자 adonis55@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