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노르웨이 세계 최초로 CO2 저장, 한국은 2025년 실현 목표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96호 4 면

노르웨이·호주·미국 등이 CCS 기술을 이끌고 있다. 이들 국가는 땅과 바다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기 시작했다. 노르웨이는 1996년 세계 최초로 이산화탄소 100만t을 저장했으며 현재 연간 170만t을 인근 해저에 묻고 있다. 영토가 넓은 알제리는 2004년부터 바다 대신 땅에 연간 170만t을 묻는다. 호주는 2017년부터 북서부 해양의 천연가스 시설에 연간 400만t의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할 예정이다.


?미국도 2000년부터 노스다코타주 북부의 공장지대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해 캐나다 유전지대로 수송, 연간 100만t씩 저장하고 있다. 누적량만 총 3000만t 정도다. 현재는 에너지국(DOE)의 재정 지원으로 대규모 CCS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늦어도 내년 상반기까지 미시시피주 켐퍼카운티에 연간 300만t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땅속 저장을 시작한다.


 영국도 2014년 신규 화력발전소의 CCS 장착을 의무화하고 북해에 연 200만t의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최대 배출국인 중국도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2030년 탄소 배출량을 2005년의 60~65% 규모로 감축하고 CCS 상용화를 목표로 현재 13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도 저장 기술을 확보하고 해양 퇴적층에 저장할 준비를 하고 있다.


?한국은 2010년 ‘국가 CCS 종합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국책 연구기관과 기업이 포집·저장·관리기술을 개발해 왔다. 2019년까지 총 2조3000억원이 투입된다.


 포집 기술은 해외의 80~90% 수준까지 올라왔다. 현재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FEP융합연구단이 이산화탄소를 최대 90% 회수하면서 화력발전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대전에 0.1㎿급 실험 설비와 2㎿급 실증 설비를 짓고 있다. 이 기술이 완성되면 친환경 발전 플랜트(발전소)를 수출하고 노후 설비에 얹는 형식의 ‘친환경 리모델링’도 할 수 있다.


 해양수산부는 2005년부터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서울대·KAIST·삼성중공업 등과 해양 CCS 저장 핵심 기술 개발을 추진해 왔다. 과제 총괄 책임자인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강성길 박사는 “지난 10년간 100만t급 해양 CCS 저장을 위한 핵심 기술을 확보해 저장할 준비를 마쳤다”고 말했다. 현재 기획재정부에서 예비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2025년이면 실제 저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후보지로 울릉분지, 동해 가스전 거론미래가 마냥 핑크빛인 것은 아니다. 한국 땅은 지층이 오래돼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주입할 구멍이 적다. 육지에선 ‘님비현상’ 때문에 마땅히 저장할 곳을 찾기가 힘들다. 땅속 이산화탄소가 누출됐을 때 동식물이나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연구 중이지만 ‘내 집 앞은 안 된다’는 여론이 대세다. 이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마찬가지다.


?한국법제연구원 기후변화팀 김은정 박사는 “최근 미국에서는 자기 땅 아래 온실가스를 묻었다고 소송을 한 사례도 있다”며 “국내에서도 이산화탄소를 육지 아래 저장하면 이 같은 법적 분쟁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바다 아래는 어떨까. 한국의 경우 울릉분지나 동해 가스전이 후보지로 거론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본다. 울릉분지는 2000만t 이상 저장할 수 있는 곳으로 1년에 100만t씩 저장하면 약 20~30년 정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 바다라고 안심할 수는 없다. 해양에서도 국토를 두고 국제적 분쟁이 일어날 수 있다.


?김 박사는 “한국에서는 지중보다 해양에 저장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며 “앞으로 해양 대륙붕 등지에 저장할 경우를 대비해 중국·일본 등 이웃 국가와 협의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혜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