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종합대학의 교수비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어느 사립대학에서 종합대 승격기준에 맞추기위해 임용한 교수52명을 사후에 무더기 해임한 사건은 현재의 교육현실을 생각하면 그다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대부분 사립대학이 법적 정원에 훨씬 못미치는 교수진으로 학교를 운영하고 있고 그 갭을 시간강사로 메우고있는 이유가 인건비절감에 있다는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가톨릭의대(2백5%) 한림대(1백15%) 수원가톨릭대(1백28%)등 법정정원보다 훨씬 많은 교수요원을 확보하고 있는 사대도 없지는 않다.
그러나 종합대학중에서도 단국대는 53%, 동국대는 51%, 건국대는50%에 불과하고 단과대학중에서는 대구한의대의 32%를 비롯, 50%에도 못미치는 대학이 수두룩해 평균확보율은 64%에 불과하다.
국공립대학의 경우도 크게 다를바가 없다. 서울대학교만이 1백%교수진을 확보하고 있고 60%내외에 불과한 대학도 많아 국립대의 평균확보율은 73%에 지나지 않는다.
정부의 법정정원이라야 선진국의 수준에도 훨씬 못미치는데 그나마도 이처럼 턱없이 모자라는 형편이어서 대학교육이 제대로 될것인지 크게 우려된다.
교육의 질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교수진의 충실도에 있다는것은 길게 설명할 필요가 없다.
더우기 선진대열로의 도약이 가장 절실한 국가적 과제가 되어있는 우리가 아닌가.
자원이 훌륭하고 학문적 업적이높은 교수진을 확보한다는것은 제쳐두고라도 정부가 정한 정원이나마 채워주는 것은 충실한 교육을 위한 최소한의 조건일 것이다.
대학이 단순히 학문을 수수하는곳이 아닌바에야 시간강사만으로 대부분 강의시간을 때운다는것은 도시 무리다.
이들에게는 학생지도에 대해 책임질 일이 없기 때문에 교수나 학생간의 인격적 교류라든지 강의실밖의 사제관계같은것은 처음부터 기대할수 없다.
현재 사학들이 당면하고있는 재정적인 어려움을 모르지는 않는다. 시설확충에 힘쓰다보면 자연 인건비를 줄이는 쪽으로 눈이 돌아가지 않을수 없다고 사학당국자들은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해서 「값싼」시간강사만으로 학교를 꾸려가려는것은 약삭빠른 장삿속이란 지탄을 면할수 없다.
아무리 어려워도 대학은 학문의 전당으로서의 구실을 해주고 최소한 그런 모양만이라도 갖추어 주기를 국민들은 바라고있다.
어떤 대학의 시간강사가운데는 문교부로부터 연구비를 타가라는 통보를 받고 비로소 자신이 서류상 전임강사로 문교부에 올라있다는 사실을 알았다고한다. 자신의 권리주장도 못하고 대학에 발을 붙여준것만 감지덕지 여기는 사람들이 교단에 선다는것이 어떤 결과를 빚는지 생각해보라.
대부분 대학이 안고있는 이런 고충을 해결하기위해 가장 중요한것은 문교당국의 역할이다. 문교부는 우선 서울대학교뿐아니라 모든 국공립대학의 법적정원부터 채워주어야한다.
자신이 해야할일은 제쳐두고 사학에 대해 정원확보를 일방적으로 지시하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
그리고 세제상의 혜택을 비롯해서 사학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정부의 책무임을 알아야 한다.
대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충실한 조건을 마련해 주는것은 국가발전이란 장기적 목표에서는 물론 당장의 학원안정을 위해서도 서둘러야할 당면과제일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