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제주포럼] 이홍구 “미·중은 자본주의 추구 공통점, 타협 여지 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기사 이미지

26일 제주포럼 ‘핵확산 금지조약의 미래’ 세션에서 토론하는 연사들. 왼쪽부터 라메시 타쿠르 아시아·태평양 리더십 네트워크 공동의장(전 유엔 사무차장보), 자얀타 다나팔라 과학과 세계의 분쟁에 관한 퍼그워시 회의 회장, 라케슈 수드 전 인도 군축 및 비확산 대사, 마르티 나탈레가와 전 인도네시아 외교장관. [사진 박종근 기자]

제주포럼 이틀째인 26일 핵과 과거사 문제를 논의하는 세션들이 잇따라 열렸다.

핵군축·과거사 논의 잇단 세션
“다테야마 위안부 추모 돌무지처럼
한·일, 과거 기억 공유할 운동을”

‘아시아·태평양의 핵 군축 재고’ 세션에서는 핵 확산을 막기 위한 태평양 지역 국가의 역할을 논의했다.

사회를 맡은 라메시 타쿠르 아시아·태평양리더십네트워크(APLN) 공동의장은 “냉전시대보다 핵 탄두 숫자는 줄었지만 핵보유국이 늘어나 전쟁의 위험이 커졌다”고 문제 제기를 했다.

카를로스 소레타 주모스크바 필리핀 대사는 “과거 핵은 미국과 소련만의 문제였지만 이제는 중심이 아시아·태평양으로 이동했고 미국·중국·러시아·북한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풀기가 더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기사 이미지

이홍구

이와 달리 이홍구 전 국무총리는 “미국과 소련은 이념적인 대립을 했지만 지금의 미국과 중국은 자본주의를 추구한다는 공통점이 있어 대화와 타협의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존 틸먼 APLN 연구부장은 핵우산 보호를 받는 아시아 국가에 대해 “단순히 안보의 도움을 받는 수준에 만족하지 말고 핵 확산을 막아야 하는 책임의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동아시아 역사 문제와 리더십’ 세션에서는 동아시아의 역사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선 지도자들의 노력이 더 요구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종국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냉전 이후 미국의 리더십이 약해졌고 글로벌 시대를 맞아 시민들의 목소리가 커진 만큼 국가별로 다른 시각의 역사관이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고 했다.

라인하르트 쵤너 본대학 교수는 “일본 지바(千葉)현 다테야마(館山) 지역의 한국 위안부 추모 돌무지처럼 한·일 양국이 과거의 좋은 기억을 공유해 이해하려 노력하는 ‘로컬메모리즈’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일본 역사정책에 대해 한국 등 주변국의 견제가 더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민디 코틀러 아시아폴리시포인트 소장은 “한·미·중 등은 일본이 책임져야 할 역사적 과오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밝히고 보완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토준로(伊藤純郞) 일본 쓰쿠바대 교수는 “역사 갈등 해결을 위해 한·일 역사가들이 함께 교과서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원우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양국 현직 교사들의 의견이 반영돼야 더 현실감 있는 책이 완성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특별취재팀=이동현·전수진·최충일·김경희·박성민 기자, JTBC 박성훈 기자, 중앙데일리 김사라 기자 offramp@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